•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종대 전반의 공적 정치에 대한 인식과 그 추이 (The Perception on Public Politics and its Progression during Myungjong’s Early Reig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8
29P 미리보기
명종대 전반의 공적 정치에 대한 인식과 그 추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사연구 / 70호 / 39 ~ 67페이지
    · 저자명 : 김우택

    초록

    이 논문은 명종대 전반의 정국 전개와 그로 인해 형성된 시대상을 ‘공적(公的) 정치’를 둘러싼 다양한 표방과 갈등이라는 틀로 바라본 연구이다. 고려의 전통적인 정치 체제가 무신정변 이후 지속·변용된 양상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많은 검토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를 심화시켜, 정치 체제를 구성한 여러 차원에서 나타났던 지속과 변화 양상을 살폈다.
    우선 명종대 초반의 의종 비판 내용을 검토하였다. 의종대의 정치적 사안과 연루된 인물들에 대한 사면과 탄핵 등 일련의 조치들은 ‘부당한 상벌 시행’에 대한 비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상벌 시행을 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국초부터 군주의 핵심적인 정치적 권한이자 책임으로 중시되었다. 즉 의종은 정치를 공적으로 합당하게 수행하지 못했다는 것이 비판의 핵심이었다. ‘공(公)’에는 가치적 차원, 법식적 차원, 행태적 차원의 속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의종의 정치는 이 모든 차원에서 비판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이 곧 정변 이후의 이상적인 공적 정치 시행으로 이어졌던 것은 아니다. 특히 이의방 집권기에는 오히려 전통적인 공적 정치 체제의 모든 차원이 크게 훼손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훼손은 한편으로 변화를 뜻하였다. 그리고 변화는 다양한 반응을 낳았다. 그 변화를 새로운 공적 정치라고 반겼던 사람들도 있었고, 척결되어야 할 불의로 여긴 사람들도 있었고, 그 중간에서 나름대로의 올바른 처신을 찾으려 한 사람들도 있었다. 무엇이 올바른 공적 체제인가를 둘러싼 표방이 여러 원점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이의방을 제거하고 집권한 정중부는 전통적인 공적 정치의 여러 속성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법식적인 차원의 각종 제도와 정치 작동 방식을 이용하고 가치적인 차원의 명분을 찾는 데에 능하였다. 즉 앞 시기에 비하여 복고적인 방식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하여 정중부는 한층 체계적으로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렇게 사리사욕을 채우는 행태에 대한 불만이 확산되었고, 결국 경대승에 의해 제거되는 결과를 맞이하였다. 정중부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며 공적 체제를 이용하고 자신에게 맞게 변용하였듯이, 사회 각계 각층에서도 점차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새로운 공적 체제가 변화되도록 요구하는 정치적 목소리가 커졌다. 이는 시대적 변화를 추구하는 새로운 움직임이 고려 사회에서 다양하게 일어나게 되는 추세를 견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the perception on public politics was and how it progressed during Myungjong’s early reign. The focus is especially on the overlapping of the multiple sub-realms of public politics that interweaved political real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public politics was composed of three particular realms;Value, Institution, and Behavior. These three realms were gravely affected by the Revolts of the Military in 1170. The former king, Uijong, was criticized for the failure to accomplish the traditionally proper public politics. However, under the military rule,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ly proper system of public politics was not the objective. During Uibang Lee’s regime, military leaders sought to increase the benefits for the military officials and changed the institutions accordingly. Brutal behaviors by the military were prevalent. Traditional values of the politics were disregarded. Later, Jungbu Jung utilized traditional systems to achieve his objective, transforming the system towards his will. This evoked the anti-military movements by Bodang Kim and Wichong Jo. They claimed the current regime was not the proper public political system. This started the pluralization of claims for the proper public political system. Although their challenges failed, it unleashed the flow of claims for the proper public political system by the various members of Goryeo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중세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