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법적 측면에서 토지공개념과 재산권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Concept of Land and Property Right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9.07
25P 미리보기
민법적 측면에서 토지공개념과 재산권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법학 / 48호 / 229 ~ 253페이지
    · 저자명 : 배성호

    초록

    소유권이란 그 시대의 경제적・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되는 유동적인 것이다. 소유권의 본질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소유권을 어떻게 제한할 것인가이다. 인류의 법사 속에서 소유권은 어떤 시대에도 제한이 없는 절대적인 권리로서 인정된 적은 없었다. 소유권을 가장 절대적이고 추상적인 권리로 이해했던 로마법에서도 소유권의 행사에 제한이 존재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헌법 제23조나 민법 제211조가 모두 법률에 의한 제한 가능성을 처음부터 예정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소유권에 대한 제한은 소유권의 개념에 내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소유권에 대한 제한은 예외가 아니라 하나의 원칙적 모습이 되었다. 지금 이 시대 우리 사회에서 거론되는 토지공개념 또한 그러한 것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근래 토지공개념이라는 단어가 새삼 화두가 되고 있다.
    토지공개념이란, 토지는 사유재인 동시에 공공재적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그 이용을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토지재산권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토지에 대한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면서도, 토지가 갖고 있는 공공적 목적을 전제로, 토지의 사용에 대한 정치적, 제도적 보완을 목적으로 일정한 제한을 둔다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토지공개념은 공공의 이익 내지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하여 토지의 소유와 이용은 적절히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우리 나라에서 토지공개념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현재 재건축과 관련하여 초과이익환수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부동산 보유세 인상 등이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것과 그 맥이 닿아 있다.
    토지는 특수한 자원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토지공개념이 법만으로 이상적 체계를 구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오늘날 토지공개념의 규범체계로의 적극적 수용의 경우에도 국민들의 충분한 이해와 지지는 물론이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계획, 다른 법률과의 조화와 규범의 체계정합성 등의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영어초록

    Ownership is a fluid thing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period.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essence of ownership is how to limit ownership, In the history of human law, ownership has never been recognized as an absolute right without restrictions in any age, In Roman law, which understood ownership as the most absolute and abstract right, there was a limit to the exercise of ownership. As mentioned above, as Article 23 of our Constitution or Article 211 of the Civil Law all set the possibility of restriction by law from the beginning, the limitation of such ownership should be inherent in the concept of ownership.
    The public concept of land means that the government's regulation on land property rights is inevitable to suit the use of land property rights because the land is both private property and public property. In other words, it is the concept that a certain limit is placed for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of the use of land, on the premise of the public purpose of the land, while recognizing the private ownership of the land. In this way, the land public concept can be appropriately limited to the ownership and use of land in order to promote public interest or public welfare. In fact, the land public concept is not a new concept in our country. Currently,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excess profit return system, the multi-home transfer tax, and the increase in the real estate holding tax.
    Since land is a special resource,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e public concept of land related to it has an ideal system by law alone. In the case of active acceptance as a norm system of land public concept toda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ong-term and comprehensive plans, harmony with other laws, and system integration of norms as well as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