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매도, Winner? Loser? : 단기 공매도 투자를 가정하여 (Short-selling, Winner? Loser? : Assuming a Short-term Short-selling Investme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04
28P 미리보기
공매도, Winner? Loser? : 단기 공매도 투자를 가정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4권 / 2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김진수

    초록

    공매도란 차입한 주식을 매도하는 것으로 국내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주요 관심사중 하나이다. 개인투자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공매도 급증이 주가하락을 야기한다는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Diether.
    Lee, and Werner(2009)은 이러한 인식과 반대로 주가 수익률이 좋은 종목들에서 공매도가 증가한다고 주장한다. 공매도는 향후 주가하락에 베팅하는 투자기법임을 감안할 때 현재 주가가 본질가치 대비 고평가되어 주가수익률이 좋은 종목들이라면 향후 주가의 하락 반전을 예측할 수 있다. 고가로 형성된 주가수익률이 높은 종목군에 공매도 후 하락 반전하는 시점에 숏커버링함으로서 차익을 실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반해 Jegadeesh and Titman(1993)의 모멘텀 현상이 유효하다면 공매도 투자자는 주가 수익률이 좋지 않은 종목들의 추가적인주가하락을 예측하고 이러한 종목들에서 공매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증시에서 공매도가 Diethe et al.(2009)의 주장처럼 주가 수익률이 좋은 Winner 종목들에서 발생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수익률이 나쁜Loser 종목들에서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검증 결과 국내증시에서 공매도는 과거 수익률이 좋지 않은 Loser 종목들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것으로보인다. 더불어 Loser 종목에 베팅한 공매도 투자자들이 충분한 수익을 실현하는지도 분석해 본 결과, 주가의하락이 충분하지 않아 공매도 투자자들은 수익률 측면(숏커버링 단계)에서도 Loser일 개연성이 높다.
    본 연구는 시장 불안 상황에서 공매도 규제를 취하는 정책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으며, 공매도 투자자들이막대한 이익을 편취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 개인투자자들의 공매도에 대한 비우호적 인식 가운데 하나를 불식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hort selling is the sale of borrowed shares, one of the principal causes of concern of investors in the domestic capital market. One of the reasons why individual investors' attend to short-selling is the widespread perception that a surge in short selling causes stock prices to fall.
    Diether et al. (2009) have argued that short selling increases in stock groups with high prior stock returns. On the one hand, given that short selling is an investment technique that involves betting on future stock price declines, if the current stock price is highly valued compared to its intrinsic value, it can be used to predict a short-term reversal in stock prices and realize profits by short covering with the falling stock price. On the other hand, if the momentum phenomenon identified by Jegadeesh and Titman (1993) is valid, short-selling investors will predict further declines in stocks that have poor prior stock returns and will increase short-selling. In this study, I analyzed whether short-selling occurs in winner or loser stocks.
    Through a multi-pane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historical yield and the short selling ratio of KOSPI and KOSDAQ listed stocks between '15.1.2 and '19.12.30, a significant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return and short selling was found. Consequently, I could substantiate that short-selling investors in the domestic stock market are believed to be investing in short selling, focusing on loser stocks with poor returns in the past.
    It also looked at whether short selling investors realize profits through short selling. In other words, I analyzed whether short selling investors are Winner in terms of yields. If the excess returns are significant and have a large negative coefficient value immediately after the short selling concentrates, it could be concluded that short sellers are winner in terms of returns. Taking into account that short selling is essentially a transaction with a high transaction cost, an entity determined whether to realize gains through excess retur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fficult to realize excess profits in business days and stocks where short selling is concentrated.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short selling can form a theoretical basis for supporting short-selling regulations. If, as Dieter argues, short selling is centered around high-yielding stocks, short selling regulatory policies could be interpreted as overregulation limiting the smooth self-purification of the market.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short selling in Korea is concentrated in a situation where stock prices are falling, which can be a theoretical basis for supporting short selling regulations in the face of market inst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can help to dispel the unfavorable perception that short sellers are taking huge prof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