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정질서 파괴범죄의 공소시효 (Verjährungsfrist des Verbrechens gegen die verfassungsmässige Ordn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헌정질서 파괴범죄의 공소시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앙법학 / 19권 / 2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성천

    초록

    1979년 10월 26일에 있었던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살해사건으로 군사정권이 막을 내릴 수도 있었으나, 정치군인들의 사조직이었던 하나회 소속 신군부 집단이 1979년 12월 12일에 군사반란을 감행하고, 이어서 시국수습방안이라는 정권 탈취 시나리오에 따라 1980년 5월 18일을 기점으로 내란 행위를 저질러 다시 군부통치가 12년 간 연장되었다.
    12⋅12 군사반란과 5⋅18 내란 행위에 대한 사법처리 요구는 전두환과 노태우로 이어지는 제2차 군부통치 기간은 물론 그 뒤를 이은 김영삼 정권 내에서도 줄기차게 계속되었다. 이처럼 12⋅12 및 5⋅18에 이어 15년 넘게 불의에 집요하게 항거한 대한민국 국민의 힘은 드디어 성공한 쿠데타를 처벌하게 만들었다.
    군사반란과 내란 행위를 통해서 정권을 탈취했던 정치군인들을 사법처리하는 문제는 산술적으로 15년이라는 공소시효가 다 지나가 버렸다는 난제에 집중되었다. 공소시효가 이미 완성되었음에도 공소시효와 관련된 법령을 개정하여 형사처벌을 한다면 소급효 금지 원칙에 위배된다는 반론이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과거 36년간의 일제 통치 기간이 막을 내리고 해방된 이후에 남한에서는 「반민족행위처벌법」 제정 1948. 9. 22., 법률 제3호.
    을 제정하여 일본 정부와 통모해서 한일합병을 이끌어 낸 행위(제1조), 일본정부로부터 작위를 받은 행위(제2조), 독립운동자나 그 가족을 악의로 살상하거나 박해한 행위(제3조) 등을 처벌하고자 한 바 있다. 이처럼 형사처벌과 관련하여 실체형법을 사후에 입법하여 소급적용하는 것은 명백한 죄형법정주의 위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제 강점기의 반민족 행위는 당시에 유효했던 실체형법인 대한제국 형법을 처벌근거로 했어야 하였다고 생각한다.

    12⋅12와 5⋅18 사건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실체형법 소급적용의 문제는 없다. 행위당시의 실체형사처벌규정이 재판시까지 하나도 변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12년 동안의 전두환⋅노태우 집권기간과 뒤를 이은 김영삼 정권에 의해서 사법처리가 지연되는 동안 15년의 세월이 흘렀기에 공소시효가 문제되었을 뿐이다.
    이 문제는 5⋅18 민주화운동법을 제정하여 1993년 2월 24일까지 신군부 집단의 군사반란과 내란 행위에 대한 공소시효가 정지된 것으로 봄으로써 해결되었다. 형식적으로는 그렇게 처리되었고 이들 사건에 대한 1⋅2⋅3심 법원의 판단도 마찬가지이었다. 하지만 12⋅12 군사반란과 5⋅18 내란 행위에 대한 공소시효는 5⋅18 민주화운동법이 제정됨으로써 비로소 1993년 2월 24일까지 그 진행이 정지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공소시효는 본래 공소제기가 가능함에도 공소제기를 하지 않는 동안 진행된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적어도 1993년 2월 24일까지는 검찰이 공소제기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12⋅12와 5⋅18 사건의 공소시효는 당연히 1993년 2월 24일까지 정지되어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Am 26. Oktober 1979 wurde der damalige Präsident Park durch einen Attentat seines rechten Hands umgebracht. Das 20 Jahre lang gedauerte militärische Regime konnte dadurch zum Ende gebracht werden. Aber General Chun und seine Gefolgsmännern (sog. Neuer militärische Verband) angriefen das Hauptquatier der koreanischen Armee am 12. Dezember 1979. Der Angriff war erfolgreich. Danach schlug des Neuen militärischen Verbands den bürgerlichen Aufstand vom Stadt Gwangju am 18. Mai 1980 grausam nieder. Die Herrschaft der militärischen Regime wurde noch 12 Jahre verlängert.
    Die Beanspruchung des Bürgers die Hochverratstäter zu bestrafen wurden fast 15~16 Jahre lang regelmässig wiederholt. Allerdings wurden die Tätern bestraft. Das war Sieg der bürgerliehn Bewegung.
    Die Hauptproblematik der Bestrafung dieses Hochverrats war das Problem der Verjährungsfrist. Weil die öffentliche Anklage gegen die Tätern nach mehr als 15 jährigen Zeitablauf erhoben wurden, hätte die Verjährungsfrist schon abgelaufen. Wenn die Verjährungsfrist schon abgelaufen hätte, könnte die Verlängerung oder die Aufhebung der Verjährungsfrist als ein Verstoss gegen das Prinzip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Das Prinzip nulla poena nullum crimen sine lege gilt grundsätzlich für das materielles Rcht. Deshalb ist die Bestrafung nach einem post factum Gesetz streng verboten. Aber in Zusammenhang mit dem Hochverrat des Neuen militärischen Verbands wurde kein materielles Gesetz geändert. Die von Tättern begangenen Handlungen waren nach dem damaligen Strafgesetzbuch auch ein schwerwiegendes Verbrechen.
    Das einzige Problem war, ob die Verjährungsfrist am Tag der Anklgeerhebung schon abgelaufen hätte und deshalb wäre die Bestrafung der Hochverrätern ein Verstoss gegen das Rückwirkungsverbot. M. E. ruhte die Verjährung während der Herrschaft der Staatsmacht von diesen Tätern, weil die Verfolgung der Tat aus den tatsächlichen Gründen völlig unmöglich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앙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