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정척사(衛正斥邪)’와 ‘개화(開化)’사상에 나타난 유교지식인의 공(公)·사(私) 관념 (Confucian Intellectuals’ Ideas of Public-Private in the Ideas of ‘Protecting Righteousness and Expelling Wickedness’ and ‘Enlightenmen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12
24P 미리보기
‘위정척사(衛正斥邪)’와 ‘개화(開化)’사상에 나타난 유교지식인의 공(公)·사(私) 관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13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박태옥

    초록

    이 글은 근대 전환기를 맞은 조선 유교지식인들의 공·사 관념과 현실대응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근대 문명 수용에 대해 대립적인 관점을 가진 최익현, 유인석,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한 위정척사파의 사상과, 박규수, 김윤식, 유길준 등을 중심으로 한 개화파의 사상을 중심으로 공·사 관념은 살펴보았다.
    위정척사파는 공·사 문제를 ‘천리지공’과 ‘인욕지사’의 성리학적 관점을 계승하여 시대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이념적 단초로 사용하였고, 사를 배격하고 공의 가치를 수호함으로써 외세의 압박과 침략에 대항할 것을 강조하는 현실대응 논리를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외세의 침략과 위협에 직면하여 단순히 ‘천리지공’과 ‘인욕지사’의 공·사관에 머물지 않고 공론이나 『만국공법』과 같은 국제법의 공공성에 기대어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이때의 공론이나 공법 등은 그들의 성리학적 가치관이 투영된 공적 가치 추구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공정과 공평 등의 공적 가치 실현을 담보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개화파는 공론과 공법의 논의를 통하여 세계 질서의 변화 양상을 인식하고 공도·공명 등의 가치를 중시하며 근대 문명을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주로 현실정치의 일선에서 활동했던 그들은 공법을 강조하는 대외정책 노선을 보여주었다. 공법도 현실적으로는 힘의 우열에 따라 무력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진정한 공의는 인민의 권리와 저항을 통하여 공공성을 확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위정척사파가 강조한 공론이 주로 지배계층에 한정된 공론이었다면, 개화파에게서는 인민의 영역까지 포괄함으로써 천리의 공과 천하의 공이 공존하는 인식의 단초를 볼 수 있었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근대적 이념의 영향도 나타났으나 개인은 여전히 공동체의 가치 안에 포획된 개인으로서, 이를 서구 근대와 같은 개인의 대두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시기 유교지식인의 공·사관이 서구 근대에 비견할 만한 새로운 변화를 명징하게 보여준 것은 아니지만, 근대 이행기라는 특수한 시공간 안에서 다양한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위정척사파와 개화파의 공·사 관념은 전통적인 가치관을 토대로 한 유사점과 근대 문명에 대한 대립된 태도에서 오는 차이점을 동시에 드러내면서 오늘날 공·사 인식의 연원을 가늠하게 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studies how Confucian intellectuals in Joseon, who entered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established concepts such as equity, and publicity and practiced them in society through their notions of public and private matters.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wo types of the ideas of the Wijeong-Cheoksa Pa(Choi Ik-hyun, Yoo In-seok and Ki Jung-jin) and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Party (Park Kyu-Su, Kim Yoon-sik, and Yoo Gil-joon), which have conflicting views on the acceptance of modern civilization.
    The Wijung-Cheoksa Pa used the public and private issues as an ideological clu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of the times by inheriting the Neo-Confucian perspectives of "the public of Heavenly Principle" and "the private of human desire." By rejecting the private sector and defending the value of the public, it showed a logic of reality response that emphasized against foreign pressure and aggression. In addition, in the face of foreign invasion and threats, they tri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relying on public opinion or the publicity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the public opinion or public law at this time did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ir Neo-Confucian values.
    The Enlightenment school tried to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world order and accept modern civilization through public opinion and discussion of public law. They, who were mainly active on the front line of real politics, showed foreign policy lines emphasizing public law. If the public opinion emphasized by the Wijung-Cheoksa Pa was mainly limited to the ruling class, the Enlightenment school could see a clue to the perception that the heavenly principles and the public of the world coexist by covering the realm of the people. Although the influence of modern ideology on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has also appeared, individuals are still captured within the values of the community, and it will be difficult to regard them as the rise of individuals like the Western modern era.
    At this time, Confucian intellectuals' view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did not clearly show new changes comparable to the Western modern era. But it showed various patterns of change within the special time and space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public and the private concepts of the Wijeong-choksa Pa and the Enlightenment school simultaneously revealed similarities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differences from conflicting attitudes toward modern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guess the origin of today's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