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명(無明)과 공(空) - 욕망의 비실재성에 대한 불교적 통찰 (Ignorance and Emptiness - Buddhist Insight into the Unreality of Desir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9.12
43P 미리보기
무명(無明)과 공(空) - 욕망의 비실재성에 대한 불교적 통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4권 / 177 ~ 219페이지
    · 저자명 : 조준호

    초록

    불교 욕망론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국내외 학계에서 어느 정도 진척되어왔다. 하지만 본 연구가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갖고자하는 점은 불교의 기본 법상(法相)의 체계 속에서 욕망의 기원과 발생구조와 발달 구조 등을 인식론적으로 밝히고 그러한 욕망이 갖는 비실재성의 통찰과 극복이 어떻게 실천철학적 입장에서 제시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불교전반에서 욕망 발생구조와 본질을 보여주는 기본적인 법체계는 오온법(五蘊法) ․ 십이처법(十二處法) ․ 십팔계법(十八界法)이다. 다시 이러한 법에 육육법은 바탕해 있고 십이연기법(十二緣起法)과 사성제법(四聖諦法)으로 확장되어 설명된다. 이 가운데 십팔계법은 인식활동과 전개의 기초로 어떻게 욕망이 발생하는가의 과정을 보여주는 육육법(六六法)으로 불교욕망론의 골격을 제시한다. 이처럼 불교의 중심체계는 욕망의 이해와 욕망의 극복에 놓여있다. 오온 ․ 십이처 ․ 십팔계가 욕망의 발생구조와 본질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모아져 있다면 12연기와 사성제는 '욕망에 대한 투철한 이해와 이러한 이해에 기초한 극복'에 초점이 있다. 하지만 불교는 어떤 범주의 욕망이든 무상(無常)과 고(苦) 그리고 무아(無我)를 떠나있지 않다고 말한다. 따라서, 고(苦)로부터 인간 해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존재의 비실재성을 통찰하는 일이 강조된다. 욕망하는 자아의 무상성(無常性)과 무아성(無我性)이라는 비실재성을 철견하는 것으로 욕망하는 자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다시말해, 실천적인 문제에서 공성(空性 : 무실체성)의 자각과 함께 욕망의 허망성을 체득하여 욕망으로 비롯되는 고통을 극복할 것을 말한다. 이처럼 본고는 불교의 실천철학적 중심주제인 욕망의 기원과 과정을 밝히고 다시 이러한 욕망의 무상성을 어떻게 체득하는가하는 문제를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Buddhist scholars have philosophically and academically discussed desire and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n it in this modern times. However, I will adopt several key doctrines of early Buddhism and epistemologically discuss the origin, development, and disappearance of desire in this current research article. I will continue to analyze in it how we are able to philosophically understand and practically remove the unreal desire.

    Representative of these dharmas are the five aggregates, the twelve bases, and the eighteen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These three basic systems guide Buddhists to thoroughly comprehend the true nature of desire. We can extend those, discuss the six-six, and finally investigate the twelvefold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four noble truths. Among them the eighteenfold physical and mental element is the base of cognitive faculty. In fact, the discourse of the six-six as basic structure for Buddhist theory of desire shows the origination and process of desire. In other words, dependent on six internal sense-fields and six external sense-fields, six classes of consciousness arise; the union of these result in six classes of contact (phassa); six classes of contact are conditioned to six classes of feeling (vedanā); and six classes of feeling result in six classes of desire[taṇhā]. Discourse of the six-six is based on the eighteen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Therefore, the first framework of the Buddha's teachings is to comprehend and overcome all kinds of desire in human beings. The focal points of the five aggregates, the twelve bases and the eighteen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are to structurally discuss the origin and true nature of desire. Furthermore, we can realize the true nature of desire through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four noble truths. Buddhism points that any category of desire is non-exceptionally subject to have the nature of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n-substance. Therefore, such insight of desire is a vital issue in practice for final emancipation. The impermanent nature (anicca) of desire is guided to realize the falsity of desire. The central theme of this paper is to initially discuss the origin and process of desire and then the impermanence and emptiness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