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懶翁의 功夫十節目에 대한漢巖의 답변과 관점 (Hanam (漢巖)’s Answer to and Viewpoint on Naong (懶翁)’s Gongbu-sibjeolmog (功夫十節目))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懶翁의 功夫十節目에 대한漢巖의 답변과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8호 / 186 ~ 216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한암은 근대 한국 禪佛敎의 중흥조로 평가되는 鏡虛의 嗣法제자인 동시에, 일제강점기를 전후해서 근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최고의 禪僧이다. 이는한암이 1929년⋅1935년⋅1941년⋅1948년의 총 4차례에 걸쳐 宗正과 敎正에추대된 사실을 통해서 단적인 판단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한암과 관련된저술 중에, 고려 말 나옹의 공부십절목 답변을 포함한, 「선문답 21조」가 존재하고 있어 주목된다.
    「선문답 21조」는 1921년 乾鳳寺 萬日 禪會에서, 당시 李礫이 禪에 대해서조목조목 질문한 것에 대하여 답변한 것이다. 이력은 전반 10까지의 문제에서는, 선수행과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를 주관적으로 묻고 있다. 그러나 11에서부터는, 나옹의 공부십절목의 문제를 되풀이해서 묻는 방식을 취한다.
    공부십절목은 나옹에 의해서 恭愍王代 功夫選의 試題로 고안된 것이지만, 당시 시간상의 이유로 功夫選場에서는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하여 『懶 翁語錄』에는 문제만 제시되어 있을 뿐, 답은 없는 상태로 한국불교를 유전하게 된다. 바로 이 부분이 한암에 의한 답변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한암의 문답인 「선문답 21조」의 구조를 검토하고, 이와 아울러 공부십절목의 답변을 통한 한암의 禪에 대한 관점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고려 말 공부선의 시제인 공부십절목의 배경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Ⅲ장에서는, 「선문답 21조」의 구조와, 한암의 공부십절목 대답에서 확인되는 특징을 나옹의 「示衆」의 언급과 대비해서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확인되는 한암의 선에 대한 관점은, 본체론에 입각한관점환기라는 洪州宗系 南宗禪의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As a Dharma inheritance (嗣法) disciple of Gyeongheo (鏡虛), who helped revive modern Korean Seon Buddhism, Hanam was the supreme Seon monk who represented Korean Buddhism during and after Japanese colonial rule. His importance is evident in the fact he was elected as Jongjeong (宗正) and Gyojeong (敎正) four times (1929, 1935, 1941 and 1948). One of his more noteworthy writings is the 21 Articles of Zen (Seon) Questions and Answers. This text includes his answer to Naong’s ‘Gongbu-sibjeolmog’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Goryeo era. 21 Articles of Zen Questions and Answers are Hanam’s answers to questions about Zen raised by Lee Ryeog (李礫) during the Manil Zen Convention (萬日 禪會) held at Geonbong-sa (乾鳳寺) in 1921. In the first ten questions, Lee asks him about general issues on Zen discipline. But, from the 11th question on, Lee repeatedly asks Hanam about Naong’s ‘Gongbusibjeolmog.’ Gongbu-sibjeolmog was originally designed by Naong as a test question for the Gongbuseon (功夫選), an examination for monks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恭愍王). However it was not used in the actual test due to time constraints. Therefore, in Naong’s Sayings (懶翁語錄), only the questions are presented without answers. In his book, Hanam presents his answers.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structure of the 21 Articles of Zen Questions and Answers suggested by Hanam, as well as and his viewpoint on Zen, through his answer to the Gongbus-ibjeolmog. To do this I examined Chapter 2 which presents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Gongbu sibjeolmog as a test theme for the Gongbuseon. Based on it, Chapter 3 deals with the structure of 21 Articles of Zen Questions and Answers and compares Hanam’s answer to the Gongbu-sibjeolmog with Naong’s statements in Sijung (示衆). This revealed that Hanam’s viewpoint on Zen carried on well the tradition of Hongju-jong Namjong Zen that provokes the viewpoint based on the ont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