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미술에서 이미지의 논리(Logik des Bildes): 곳프리드 뵘Gottfried Beohm을 중심으로 (Die Logik des Bilde in der Modernen Kunst bei Gottfried Boeh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7.12
26P 미리보기
현대미술에서 이미지의 논리(Logik des Bildes): 곳프리드 뵘Gottfried Beohm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미술사연구 / 22호 / 141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승호

    초록

    현대미술은 우리에게 수많은 화두를 던진다. 미학에서 비평으로 이동하여 비평이 영미권에서는 학문적인 대상이 되었고, 서유럽에서는 미술학의 전통과 현대미술이 어떻게 만나고 있는가에 주목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위스 바젤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로 제직하고 있는 곳프리드 뵘(Gottfried Boehm)이 철학과 미학 그리고 미술학이 만나는 접점을 언어의 전환에서 아이콘적 전환으로 시도하고 있듯이 그는 서유럽의 전통에 따르고 있다. 현대미술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기준이 타 인문학에 비하여 성과를 거두질 못하였다는 그의 지적은 학제간의 담론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가 무엇인지를 생산자와 수용자의 역학관계에서 구체화 되었다. 그리고 이미지의 논리가 고대에서 현재까지 미적경험의 대상이 된다는 그의 주장은 충분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었던 그의 연구논문<이미지의 논리>는 해석이란 무엇이고, 이미지의 해석학이 어디에 자리하고 있으며, 무엇이 이미지인가라는 질문에 하나의 이정표를 제공한다. 지각영역이 학문에 자리하기까지 제외 되었던 부분이 이미지의 논리이자, 이 논리는 모든 작품은 인간이 제작한 것으로 항시 본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예술가들이 생산하는 이미지가 논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 되었다는 것에는 이의가 없을 것이다. 무엇이 철학적 질문의 기초가 되었고, 이 질문의 내용이 철학에서는 형이상학에서 언어의 비판으로 이어졌지만, 미술사에서는 이러한 질문이 던져지지도 시도되지도 않았다. 따라서 곳프리드 뵘이 철학적 질문을 비판으로 삼았고 이 비판이 이미지 해석의 비판으로 전환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매우 고무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가 이것이 예술작품이라고 인정한다는 것과 이 작품의 내용이 무엇이라는 규정하는 것은 각기 다른 차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과 무엇이 이미 작품에 내재 하고 있다는 사실이 인정되질 않았다. 바로 여기서 뵘의 아이콘적 전환과 이미지의 논리가 생명력을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 곳프리드 뵘의 인문학적 연구결과가 어떠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으며 그리고 이 문제의식이 미술이론과 방법론에서 차지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그의 논문 <언어의 경계를 넘어서: 이미지의 논리에 관한 소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미지학이 거론되고는 있지만 어디까지 이미지의 논리가 미술사방법론으로 자리할지는 우리들의 관심을 모으기에는 충분 하다고 사려 된다.

    영어초록

    Die Moderne Kunst wirft viele Fragen auf. Der Uebergang von der Aesthetik in die Kritik ist im englischen Sprachraum eingeleitet, waehrend in Europa vor allem im romanischen und germanischen Sprachraum versucht wird, die Tradition und die Moderne im Bereich der Bildenden Kunst zusammenzustellen. Dass Gottfried Beohm, wer hier vorgestellt und seine Aufsaetze im Zusammenhang mit "der Logik des Bildes" ausgelegt werden, von der Philosophie und Aesthetik ausgehend neue Froschungsansaetze ans Tageslicht bringt, liegt seine Position auf der Hand. Das Verstehen und die Interpretation von Kunstwerken ist im Vergleich zu den Nachbarn der Wissenschaften nicht so weit entwickelt, wie der Autor in dem Text<Jenseits der Sprache: Anmerkungen zur Logik des Bildes> formuliert. Wie in der Sprachphilosophie wie Wittgenstein "linguistic turn" stattfand, soll auch in der Kunstgeschichte "iconic turn" in Verbindung zur Logik des Bildes unternommen werden, um die Fragen, welche in der Kunstwissenschaft unberuehrt blieben, Was ist ein Bild?, was heisst Interpretation?, Was ist die Interpretartion des Bildes? sowie Was ist Grundvoraussetzung dabei?, zu beantworten. Wenn man vor Bild steht und den Gehalt des Bildes zu lesen versucht, greift mann in der Modernen Kunst zur Hilfe. Die Logik des Bildes steht im Zusammenhang von linguistic turn. Damit ist vorauszusehen, dass der Autor einen wissenschaftlichen Diskurs auffordert. Und das Verstehen des Bildes setzt das Verhaeltnis zwischen den Produzenten und Rezeptionen voraus, weswegen man mittels der Logik des Bildes ueber die Grenzen zwischen der Antike und Moderne, Renassance und Moderne hinaus aesthetische Erfahrungen erweitert.
    Die hier vorliegende Arbeit ist nicht beabsichtigt, neue Forschungsergebnisse zu zeigen, sondern ist lediglich ein Versuch, die Fragen nach den Moeglichkeiten von Interpretation des Bildes, deren Voraussetzung im Kontext der Logik des Bildes zu beantworten. Die Logik des Bildes geht von den Kunstwerken aus, die der Mensch schafft, und gesehen werden. Das Sehen des Kunstwerks ist fuer die Logik des Bildes grundlegend. Demnach sind das Sehen und Kunswerks in die Logik des Bildes verbunden. Diese Verundenheit bei Gottfried Boehm soll als eigene Forschungsaufgabe erkannt und als die Erfahrung des Aesthetischen in der Kunstgeschichte anerkannt werden.
    Gottfried Boehm erforscht die Logik des Bildes, indem er das Bewusstsein von dem Bild und Interpretation in dem Text "Anmerkungen zur Logik des Bildes" im Jahr 2004 behandelt, um die Interesse fuer die Bildwissenschaft zu erwecken. Es bleibt noch die Frage, in welchem Zusammenhang mit iconic turn sich die Logik des Bildes steht, inwieweit die Logik des Bildes als eine Methode der Kunstwissenschaft verstanden werden kann. Dennoch verdient sein Bemuehen unsere Aufmerksamkeit genueg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