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운 최치원의 ‘風流’와 <海雲臺石刻> (Goun Choi Chi-won's "Pungryu(風流)" and "Haeundae Seokgak(海雲臺石刻)")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11
16P 미리보기
고운 최치원의 ‘風流’와 &lt;海雲臺石刻&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9호 / 37 ~ 52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초록

    孤雲 崔致遠(857-?)은 渡唐 유학 후 10여 년 동안 중앙과 지방의 관직을 역임하면서 문명을 떨쳤다. 특히 당나라에서 황소의 반란을 체험한 바 있는 그는 중앙의 부패와 지방의 반란 등 사회모순을 직면하여 의욕적으로 경륜을 펼치고자 時務策 10여 조를 올리는 등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으려 노력했다. 그러나 사회구조상 진골귀족들에게 개혁안이나 참정의지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왕실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고 40여 세의 나이로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최치원이 逍遙自放하며 다닌 곳 중에서 해운대는 그의 자인 ‘海雲’을 따서 이름 한 것으로, 동백섬 남쪽 벼랑의 넓은 바위에 ‘海雲臺’라는 大字의 암각서가 새겨져 있어 특기할 만하다.
    최치원을 거론하면 연관 핵심 키워드가 ‘風流’일 것이다. ‘風流’는 여러 가지 사전적 의미로 해석되는데 최치원의 철학사상, 「鸞郞碑序」 등과 종합하면 ‘풍류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현묘한 도이지만, 그 도는 인간과 멀지 않는 것이며, 인간의 주체적인 마음으로 삼교를 회통할 수 있는 융회의 마음이다. 이러한 융회의 마음은 유․불․도 어느 한편에서만 논의되어질 수 없는 妙合이다. 최치원의 사상에 기초하면, 풍류는 유순한 心源으로써 모든 사상을 수용하여 독선과 독존에 의한 분열과 갈등을 넘어 大和를 추구하는 德風이다. 즉, 풍류는 하나의 종교나 사상으로 고집되지 않는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 즉 ‘열린 마음’이다. 열린 마음으로서의 풍류는 ‘소탈’하면서도 ‘품격’있고 ‘아름’다우며 ‘감동’시키는 道이다.
    최치원은 당시 유자로서 적극적이고 치열한 삶을 살았고, 선가로서 이상을 꿈꾸며 현실을 초탈했던 인물이었다. 그가 발자취를 남긴 해운대 또한 儒仙의 경계를 넘나들며 교화를 꿈꾸었던 그의 정신이 깃든 곳이었고, 그러한 정신은 오늘 날까지 바위 위에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도 해운대를 떠올리면 최치원을 연상했듯이 千載의 풍파 속에서도 여전히 ‘海雲臺’라는 세 글자가 최치원의 풍류정신을 묵묵히 대변해주고 있다. 즉, 최치원의 풍류가 유순한 우리 민족의 ‘열린 마음’의 德風으로 상징되듯이, 최치원의 얼이 서려있는 <海雲臺石刻> 또한 소탈하면서도 품격이 있고 아름다운 감화가 깃들어 있다.

    영어초록

    Goun Choi Chi-won(857-?) made his name for himself as a writer, serving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posts for more than a decade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 in the Tang Dynasty. Having experienced the rebellion of Huáng Cháo(黄巢) in the Tang Dynasty, he tried to correct promiscuous politics by raising about 10 group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to carry out his career in the face of social humiliation, including corruption in the center and rebellion in the provinces. However, no reform proposals or real wills were accepted by the derogatory people in the social structure. Eventually, he felt frustrated with the royal family and retired from office at the age of 40. Among the places where Choi Chi-won wandered freely, Haeundae is named after his ruler "Haeun(海雲)" and is noteworthy for its large inscription of "Haeundae(海雲臺)" on a wide rock on the cliff south of Dongbaek Island.
    If Choi Chi-won is mentioned, the key word related to Choi would be "Pungryu(風流)". "Pungryu" is interpreted in various dictionary meanings, including Choi Chi-won's philosophy thought and "Secretary of the Nangrang", which is a strange province that cannot be expressed in words, but the province is not far from humans, and is a spirit of fusion that can communicate the Three Bridges with human self-reliance. This spirit of fusion is a subtle combination that cannot be discussed only on either side of Confucianism, Buddhism, or Taoism. Based on Choi Chi-won's ideas, the current is a "deokpung(德風)" that embraces all ideas with a gentle mind and seeks great harmony beyond division and conflict by self-righteousness and self-reliance. In other words, the custom is the universal sentiment of our people, the 'open mind' that is not insisted on a single religion or idea. The custom of being an open mind is to be 'slow', 'class', 'beautiful' and 'moved'.
    Choi Chi-won lived an active and fierce life as a scholar at the time, and was a person who escaped from reality by dreaming of ideal as a minister of silver and silver. Haewoondae, where he left his mark, was also a place where his spirit of enlightenment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Seonbi and Sinseon, and such spirit was engraved on the rocks until today. As Choi Chi-won was reminded of Haeundae in the Joseon Dynasty, the three letters "Haeundae" still represent Choi Chi-won's spirit of wind and current in the midst of a thousand years of wind waves. In other words, just as Choi Chi-won's style is symbolized by the "deokpung" of the gentle Korean people's "open mind", "Haeundae Seokgak(海雲臺石刻)", which has Choi Chi-won's spirit, is also simple, elegant, and beauti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