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북아시아 곰-인간 교혼설화에 나타나는 모친살해의 의미 (The Meaning of Matricide Shown in the Bear-Human Intermarriage Myth in Northeast Asi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동북아시아 곰-인간 교혼설화에 나타나는 모친살해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42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서유석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곰-인간 교혼설화에 나타는 모친살해 모티프를 멜라니 클라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클라인이 설명하는 모친살해는 프로이트나 라캉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찾아볼 수 있는 부친살해의 상징적 의미와 유사하다. 클라인은 욕망의 대상을 아버지의 남근에 두지 않고, 아버지를 포함하는 어머니의 젖가슴으로 두어, 그간 주체화의 과정에서 소거되어 있던 어머니의 자리를 복권시킨다. 동아시아 곰-인간 교혼 설화 중에서 남성-수곰의 결연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야기들 속 암곰은 대부분 ‘최초의 어머니’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인간 남성과 낳은 아이들은 그 토템 부족의 시원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기에 ‘최초의 어머니’가 될 수 있다. 동시에 암곰은 버려진 인간 남성을 어머니와 같은 모습으로 돌보지만, 결국 남성의 도주로 자식과 남편을 모두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러한 서사의 구조는 역시 모친살해의 상징적 의미가 드러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해소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여성-수곰의 교혼 설화 중에서는 아이들의 육아를 끝낸 여성이 숲으로 들어가 수곰과 만나 곰으로 살아가다 곰-아들에게 살해당하는 설화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설화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상상적인 몸과 상징적인 몸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여기서 등장하는 모친살해는 상징계로의 진입을 통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해소를 위해, 곰으로 상징되는 부모의 상상적인 몸의 소거를 의미한다. 서사의 문면에서 실재로 모친살해 모티프가 등장하는 곰-인간 교혼 설화는 역시 모친살해를 통해 하나의 주체가 사회화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다른 사례이다. 멜라니 클라인의 ‘모친살해’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논의는 그간 정신분석학에서 배제되었던 어머니의 자리를 복권시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중요한 의미의 중심에는 곰-인간 교혼 설화 속 암곰이 놓여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atricide motif shown in the East Asian bear-human intermarriage myth through Melanie Klein's Oedipus complex theory. The matricide described by Klein is similar to the symbolic meaning of patricide found in Freud's or Lacan's Oedipus complex. Klein restores the mother's position, which had been erased in the process of subjectivation, by placing the object of a person's desire not on their father's penis, but on their mother's breast including that of their father. Among the East Asian bear-human intermarriage myths, most of the female bears in the stories of male human-male bear relationships have the form of 'the first mother'. Human males and their children can become 'the first mother' as they establish themselves as the original beings of the totem tribe. At the same time, the female bear takes care of the abandoned human males like their mother but eventually loses both her children and her husband due to the man's escape from her. This narrative structure can also be seen as a process of resolving the Oedipus complex in which the symbolic meaning of matricide is revealed. Among the female human-male bear intermarriage myths, there are also myths in which a woman, having finished raising children, goes into the forest, meets a male bear, lives as a bear, and is killed by a bear-son. This myth describes the imaginary and symbolic body of the parents, and the matricide that appears here means the erasure of the imaginary body of the parent symbolized by the bear in order to resolve the Oedipus complex through entry into the symbolic realm. The bear-human intermarriage myth, in which the matricide motif appears in the context of the narrative, is also another example of the Oedipus complex in which a subject is socialized through matricide. The discussion of the Oedipus complex, which can be explained through Melanie Klein's 'matricide', offers an important meaning of restoring the mother's position,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psychoanalysis. And at the center of its important meaning lies the female bear in the bear-human intermarriage my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