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로여성장애인의 근로빈곤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가구특성 및 고용의 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Being the Working Poor in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1.05
25P 미리보기
근로여성장애인의 근로빈곤층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가구특성 및 고용의 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장애와 고용 / 21권 / 2호 / 163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동화

    초록

    근로여성장애인은 여성으로써 사회적으로 요구하는 가족돌봄에 대한 책임으로 인해 빈곤에 처할 위험이 높아지며, 근로를 함에도 불구하고 빈곤에 처할 위험이 높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근로여성장애인의 근로빈곤층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이에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자료를 활용하여 근로여성장애인 277명의 빈곤 규모와 특성, 근로여성장애인의 근로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여성장애인이 빈곤에 속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0대이며, 기혼이고, 교육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형은 신체장애이고, 후천적 원인으로 인한 장애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여성장애인의 동거자녀 수는 2명이고, 본인을 포함한 2명 이상의 장애인이 가구 구성원으로 있는 경우의 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여성장애인의 고용특성을 살펴보면, 임금은 100만원 미만이고, 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인 경우가 많으며, 근로시간은 8시간 이상 ~ 10시간 미만으로 단순노무자로 근무하며, 근무하는 곳에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구특성 변인인 가구원 수, 동거자녀 수, 장애가구원 수가 증가하면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임금이 감소할수록, 고용안정성이 없을수록, 참여․발언 조직이 없을수록, 발전가능성에 대한 불만족도가 커질수록 빈곤에 처할 확률이 높아지며, 근로시간이 증가할수록, 판매종사자․단순노무직일수록 빈곤에 처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여성장애인들의 인적자본 부족과 낮은 고용의 질 등으로 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are highly likely to fall in poverty because they, as women, have to take socially required responsibilities for family care.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being the working poor in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to develop interventions on the dimension of social welfare. Using the 1st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008),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poverty in 74,308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 working poor of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highly likely to fall in poverty, and the risk was higher when they were in their 50s, they were married, and their education level was low. Second, the most frequent types of disability were minor physical disabilities that had happened after birth. Third, many of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had two children living together and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cases that had two or more peopl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he respondent among the family members. Fourth, as to the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most cases, the wage was less than 1,000,000 won, the employment type was a regular or temporary employee, the number of working hours was 8‐10, the job type was a unskilled worker, and the workplace did not have a labor union. Fifth, when household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number of children living together,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the risk of poverty was higher. In addition, the risk of poverty was higher when the wage was low, when the employment status was unstable, when there was no organization for participation and speech, and when potential for development was unsatisfactory, and the risk was lower when working hours were long, when the job type was a sales worker or an unskilled worker. 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orking poor among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is mainly caused by lack of human capital and low quality of employment, this study discuss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애와 고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