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에 관한 고찰: 칸트의 ‘파레르곤’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as parergon : Focusing on the concept ‘parergon’ of Kant)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10
40P 미리보기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에 관한 고찰: 칸트의 ‘파레르곤’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5권 / 243 ~ 282페이지
    · 저자명 : 금빛내렴

    초록

    본 연구는 특별히 ‘파레르곤’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서 디자인의 특성에 관해 규명하기 위한 글이다. 우리는 이때 미감적 대상으로서 디자인이 우리의 삶에 부가적인 어떠한 것이 된다는 점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 작업은 칸트 저작 ─ 『판단력비판』과 『순전한 이성의 한계들 안의 종교』 ─ 중 관련 본문을 통해 이루어지며, 아울러 칸트의 ‘파레르곤’ 개념을 분석하고 해석한 데리다의 『회화 안의 진리』의 일부분을 함께 고찰하게 된다. 우선 파레르곤이라는 말이 등장하는 배경을 이해하면서 이 용어가 함의하는 여러 가지 의미들을 파악하고, 이 개념어가 쓰이는 전후 맥락 가운데 함께 거론되는 예시들이 뜻하는 바도 살펴본다.
    사실 파레르곤이라는 용어는 제3비판서에서 직접적으로는 복수형으로(parerga) 단 한 번밖에 등장하지 않지만 우리는 이 개념을 통해 디자인에 관해 더욱 새롭고도 폭넓은 해명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데리다가 파레르곤 개념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판단력비판』 자체를 분석한 적이 있긴 하지만, 연구자는 그의 해석을 참조하되 디자인과 접목하여 ─ 데리다는 파레르곤을 디자인과 연결하고 있지는 않으나 ─ 이 개념을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틀로 사용한다. 곧 파레르곤과 디자인이 결합된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에 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현대 디자인을 바라보는 시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연구에 따라,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의 특성을 명제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은 일반적인 주해(Allgemeine Anmerkung)를 다는 일이다. 둘째,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은 부대(附帶)적인 작업(Nebengeschäfte)을 행하는 것이다. 셋째,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은 또한 “그 자체 아름다운 형식을 가지는” 에르곤이 되기도 한다. 넷째,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은 모든 것의 확장, 곧 에르곤의 확장이며, 우리 자신의 확장이다. 다섯째, 파레르곤으로서 디자인은 허영(Eitelkeit)의 허식[치장물](Schmuck)으로 전락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관점을 새롭게 할 수 있다. 즉, 디자인의 특성에 관하여 파레르곤 개념을 통해서 분석함으로써 우리가 접하는 디자인이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작품(Werk, ergon) 그 자체인 우리의 삶을 부가적으로 완성시키는 것으로서 독특한 역할을 부여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parergon”. In this study, we concentrate that design as aesthetic object becomes something additional to our lives. This study is accomplished through the relevant texts among Kantian writings;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Critique of Judgement) and Religion within the Bounds of Bare Reason (Religion within the Boundaries of Mere Reason). And we also consider parts in The Truth in Painting of Derrida, in which h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concept. While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that the word parergon appeared, we apprehend several implications of the term, and examine together meanings of examples in contexts it is used.
    In fact, the term parergon in the third critique does not appear directly only once in plural form (parerga), but we are able to attempt some newer and wider explanations about the design through the concept. Although Derrida had already analyzed the third critique itself using actively the concept, I refer to his interpret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esign ─ of course not he connected it to the design ─ to use the framework of a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design. In other words, we have the in-depth analysis on design as parergon that parergon and design are coupled, and give a new meaning to the modern perspective on design.
    Based on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s parergon are to express in several proposi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design as parergon makes general annotations. Secondly, design as parergon does incidental jobs. Thirdly, design as parergon is also ergon that has beautiful form in itself. Fourthly, design as parergon is expansion of everything, i.e. of ergon and ourselves. Fifthly, design as parergon might fall into decoration(Schmuck) for vanity (Eitelkei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we can have a new perspective on the design. In other word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by analyzing the parergon concept, we can know the fact that design product we face is not just ornament, but given a unique role as the addition completing the work(Werk; ergon) itself, ou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