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도민요를 활용한기악곡의 형성 배경과 특징 고찰 -<심청가 중 뱃노래ㆍ신뱃노래>, <금강산ㆍ동백타령>, <육자배기>, <남도굿거리ㆍ성주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strumental EnsembleNamdo Folk Song -Reserch about , , and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4
33P 미리보기
남도민요를 활용한기악곡의 형성 배경과 특징 고찰 -&lt;심청가 중 뱃노래ㆍ신뱃노래&gt;, &lt;금강산ㆍ동백타령&gt;, &lt;육자배기&gt;, &lt;남도굿거리ㆍ성주풀이&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70권 / 139 ~ 171페이지
    · 저자명 : 정경조

    초록

    이 글은 1980년 이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에서 연주되기 시작한 남도민요 기악곡의 형성 배경과 기악곡으로 정착하게 된 선율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남도민요 기악곡의 형성 배경은 산조합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산조합주는 1980년 창단된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음악감독이었던 남도음악의 대가 서용석 명인에 의해 만들어졌다. 국립국악원 내에서 정악단에 비해 기악합주 레퍼토리가 부족했던 민속악단의 기악합주곡 확보를 위해 시작되었고 남도민요의 기악곡화 등 동시에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 결과 현재 <심청가 중 뱃노래ㆍ신뱃노래>, <금강산ㆍ동백타령>, <육자배기>, <남도굿거리ㆍ성주풀이>는 국립국악원과 그 소속 국악원인 국립민속국악원, 국립남도국악원의 주요 연주곡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많은 남도민요 가운데 이 4곡이 기악곡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의 다섯 가지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첫째, 메기는 부분의 선율과 장단 수가 반복되지 않으므로 가사가 없는 기악곡으로서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둘째, 후렴구는 흔하게 반복하는 선율이지만 <개고리타령>의 경우 세 가지 유형의 후렴을 돌아가면서 사용하면 더 다양한 선율을 연주할 수 있다.
    셋째, 관악선율과 현악선율이 역할을 분담하고 서로 다른 가락을 연주하면서도 조화를 이루어 낸 점은 마치 다성부의 합창을 듣는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넷째, 민속악 분야의 대표적인 기악합주인 <산조합주>, <시나위합주>의 연주형태를 모방하여 독주, 중주, 합주 부분을 적절히 배치하여 음악적 풍성함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다섯째, 다양한 장단 구성으로 산조에서의 장단 전환 시 느껴지는 긴장과 이완의 음악적 감성을 자아낼 수 있다.
    수천 년을 이어온 전통음악에서 ‘성악곡의 기악곡화’는 우리민족의 ‘음악만들기’ 중 한 줄기로서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instrumental ensemble Namdo folk song, which began to be play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s folk band after 1980, and the melodic characteristics that settled as instrumental music.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instrumental ensemble Namdo folk so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njo ensemble. The Sanjo ensemble was led by Seo Yong-seok, a master of Namdo music, who was the music director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folk band founded in 1980. At that time, the instrumental ensemble repertoir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folk orchestra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urt music group.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Sanjo ensemble and instrumental ensemble Namdo folk songs were created around Seo Yong-seok, the music director.
    As a result, <Simcheongga baetnoraeㆍSinbaetnorae>, <Geumgangsan taryeongㆍDongbaek taryeong>, <Yukjabaegi> and <NamdogutgeoriㆍSeongjupuri> have become major performanc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Namwon national Gugak Center and Jindo National Gugak Center.
    Among the many Namdo folk songs, these four songs could be established as instrumental music because they have the following four melodic characteristics.
    First, the melody and number of beats are not repeated in all verses, so it can exceed the limits of instrumental music without lyrics.
    Second, the chorus is a commonly repeated melody, but in the case of “Gaegori Taryeong”, three types of chorus can be used in turns to escape the simplicity of the melody.
    Third, the wind instrument melody and string melody can share roles and harmonize while playing different melodies to create the effect of listening to a multi-voice chorus.
    Fourth, musical richness can be created by properly arranging solo, ensemble by imitating the performance forms of “Sanjo Ensemble” and “Sinawi Ensemble”, which are representative instrumental ensembles in the folk music field.
    Fifth, these music can create a musical sensibility of tension and relaxation felt when changing the rhythm in Sanjo with various rhythm compositions.
    In traditional music that has been around for thousands of years, the “instrumentalization of vocal music” will continue as one of the “music making” of the Korean people and is expected to appear in various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