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조일본인 노동자 이소가야 스에지(磯谷季次)의 체험을 통해 본 8.15와 귀환의 기억 (Memories on 8.15 and Repatriation through Isogaya-Sueji’s Experience, Japanese laborer in Colonial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재조일본인 노동자 이소가야 스에지(磯谷季次)의 체험을 통해 본 8.15와 귀환의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60권 / 2호 / 538 ~ 567페이지
    · 저자명 : 변은진

    초록

    재조일본인 이소가야 스에지는 1930~40년대에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 흥남공장에서 근무하다가 노동운동사건에 연루되어 약 9년간 식민지 조선의 감옥생활을 하고 8.15와 함께 귀국한 후에는 도쿄에 거주하면서 ‘북한 민주화와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고 문필활동을 전개했던 인물이다. 한 사람의 자연인으로서 이소가야 스에지의 삶에서 식민지 조선과 전후의 한반도라는 공간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90세를 넘게 살았던 그가 재조일본인으로 살았던 기간은 약 20년 정도이다. 처음 조선주둔 일본군으로서 한반도에 발을 디뎠던 그는 분명 식민자이자 가해자로서의 출발이었다. 하지만 군 제대 후 조선에 남아 일본인 노동자로 생활하면서 동료들과 함께 조선의 독립과 해방을 위해 노력한 세월은 피식민지인을 위한 저항자로서의 경험이었다. 그렇다고는 해도 ‘해방전야’ 즉 일제의 패망이라는 국면을 눈앞에 둔 이소가야의 심경이 독립과 건국을 준비하는 다른 조선인 동지들과 같을 수만은 없었다. 조선인의 ‘해방’이란, 재조일본인 노동자로 살아온 이소가야의 입장에서는 ‘일본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본국으로 귀환해야 하는 현실이 다가오고 있음을 의미했다. 또한 앞으로 자신은 패전한 일본사회의 과제와 거기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함을 의미했다. 그는 수많은 일본인과 달리 일제의 패전과 ‘천황’의 항복 선언을 ‘전쟁 상대국 인민과 자국 국민의 비극’으로 느꼈다. 여러 저술들 속에서 드러나는 귀환의 잔혹한 체험을 둘러싼 이소가야의 인식을 보면, 그가 노동운동이나 공산주의운동에 참여했던 사상적 배경의 기초에 강한 휴머니즘이 자리 잡고 있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귀환 활동을 주도한 과정과 전후의 문필활동에서도 이 휴머니즘이 강력하게 발휘되고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재조일본인 귀환자들이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바뀐 듯이 현실을 인식하게 되었던 것, 일본 군국주의와 무모한 전쟁에는 반대하면서도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의 역사는 반성하지 않는 것에 대해 꼬집어서 비판하고 있다. 38도선 이북의 함흥에서 8.15 직후 조선사회의 혼란을 경험하고 똑 같이 ‘탈출’이라는 고난의 경로를 거쳐 귀환한 이소가야 스에지의 경우, 전후 일본사회 내에서 ‘피해자 인식’에 갇혀 있지만은 않았던 독특한 인물이었다

    영어초록

    Isogaya-Sueji, Japanese laborer in colonial Korea is a person who worked at the Heungnam factory of Japan Nitrogen fertilizer Co. Ltd. and was involved in the labor movement In the 1930s. He spent about 9 years in prison of the colonial Korea, returned home after 8.15 in 1945. And he is a person who is interested in North Korean democratization and human rights issue through writing activities living in Tokyo, Japan. In the life of Isogaya as a natural person, colonial Korea and post-war Korean peninsula occupied the most important position. He lived for over 90 years, and he lived for about 20 years as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Isogaya, who was facing the defeat of Japan, could not have been like the other Korean comrades preparing for independence and new-nation building. The liberation of the Korean people meant the reality that was coming back to his home country with the identity of Japanese as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In the future, it meant that he had to make a new start by adapting to the challenges of Japanese society after the defeat of Japan. Unlike many Japanese, he felt the defeat of Japan and the declaration of surrender of the Emperor as a tragedy of the peoples of home and Other Countries There was a strong humanism in the ideological background in which Isogaya participated in the labor movement and the communist movement. In addition, this humanism was manifested in the process of leading the repatriation activity and writing activities. He criticized the fact that the Japanese returnees recognized the reality as if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were reversed, against the Japanese militarism and reckless war, but not reflecting the history of colonial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세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