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공부론(工夫論)에서 학습자의 태도- 도덕 교육의 측면에서 (A Learner's Self-directedness in Moral Education by Yulgok)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2
20P 미리보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공부론(工夫論)에서 학습자의 태도- 도덕 교육의 측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초등교육연구 / 25권 / 1호 / 215 ~ 234페이지
    · 저자명 : 김대식

    초록

    이 글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이 함축하고 있는 자기주도성이 사실새로운 것이 아니라, 동서양의 교육전통 속에 내재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히한국의 교육전통 속에서도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존재한다는 점을조선의 대표적 성리학자인 율곡 이이의 수기 공부론의 해석을 통해 보여주려고 하였다.
    율곡에 따르면, 성리학 공부는 성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성인지학(聖人之學)이다. 성인지학 공부의 시작인 입지(立志) 단계에서 학습자는 외부에서 주어진 공부의목표를 자신의 것으로 자임하며 이 과정에서 외적 목표가 학습자 스스로에 의해 자신의 목표로 전환된다. 입지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본성과 성장가능성, 그리고 자신에게 부여된 책무를 자각하며, 이에 기초하여 성인이 되려는 결단을 내리고이를 유지하려고 다짐한다.
    입지를 통해 성인이 되는 것을 자임한 학습자는 경(敬)을 통해 몸과 마음을 관리하고 제어해야 한다. 거경(居敬)을 통해 몸을 예(禮)에 맞게 하면서, 동시에 마음을 바르게 한다. 함양(涵養)과 성찰(省察)이라는 정심의 공부 역시 경의 자세를 유지하며 진행한다. 이러한 거경은 공부의 과정에서 항상 자신의 마음을 집중하거나, 관리 제어하여 선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자기모니터링(Self-monitoring)의 과정에 비견된다.
    이런 수기 공부의 과정의 핵심은 독서(讀書)와 사우강론(師友講論)이었다. 독서는경전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이었다. 독서에서 학습자는 자세하게 질문하고, 신중하게생각하며, 분명하게 판단하고 깊이 생각하는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한편 수기 공부를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승과 벗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학습자는 스승과 벗과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면서 자신의 이해를 넓히고 자기만의 견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이런 사우보인의 단계에서도 학습자 스스로 주체성을 잃지 않아야만 수기의 완성이가능하다.
    조선시대 성리학은 흔히 학습자에게 도덕적 원칙을 강제하고, 고전 암송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타율적 교육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율곡의 수기 공부론은 입지와 거경,그리고 독서와 사우강론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매우 강조되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ies on Korean trad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by moral education Therory of Yulgok Lee-Yi(栗谷李珥, 1536~1584). He is most prominent neo-confucianist in Chosun dynasty. He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moral education, and his perspective imply on self-diretedness of Learners. According to him, first step of moral learning(工夫) is decision of aim by learner himself. The learner has to accept becoming Sage(聖人) as aim of education. And in learning process he must maintain state of Gyung(敬) in mind. Gyung means self-monitering and bewaring of mind. To become Sage, Learner has to reading great books of confucian, but in reading process, he always ask and research the meaning of the texts. Aims of reading is not blind memorizing of the texts. It is good to study with master and colleagues. They can take a role of assistant of learners in studying. But Learner has to keep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process. Yulgok is not modern educator, but his perspective of moral education correspond to position to define learner on self-directed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초등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