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江湖歌辭의 作中空間 設定과 意味 -<賞春曲>⋅<俛仰亭歌>⋅<星山別曲> 을 중심으로- (The Aspects and Meaning of the Depicition of Setting in Rivers and Lakes Gasa(江湖歌辭) -Focusing on Sangchungok, Myeonangjeongga, Seongsanbyeolgok-)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7.11
33P 미리보기
江湖歌辭의 作中空間 設定과 意味 -&lt;賞春曲&gt;⋅&lt;俛仰亭歌&gt;⋅&lt;星山別曲&gt; 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23권 / 115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광조

    초록

    이 논문은 ‘강호가사’로 분류되어 온 <상춘곡>, <면앙정가>, <성산별곡>을 대상으로 하여 작중공간의 형상화 양상에 따라 작자가 작품을 창작한 意圖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무엇’을 노래했는가라는 측면이 아닌 ‘왜’ 노래했는가하는 측면에서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의 결과 세 작품의 작중공간은 관념적 공간, 현실적 공간, 그리고 현실과 관념의 복합적 공간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상춘곡>의 작중 공간은 작자의 실제 거주 공간이라기보다는 상상에 의해 형상화된 관념적 공간 유형으로, 보통명사나 관습화된 비유에 의해 작중공간을 형상화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관념적 인식이나 주정적 인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정서적 만족을 우선하기 때문에 대상을 사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자신이 소망하는 모습으로 형상화한다. 따라서 <상춘곡>은 관념적 공간의 설정을 통해 자신의 실제적인 삶의 모습은 감추고 자신을 처사적 삶의 이상형이라는 名分으로 환치시켜 드러내게 된다. <면앙정가>의 작중 공간은 작자의 삶이 이루어지는 실재 공간과 동일시할 수 있는 현실적 공간 유형으로, 실제로 존재하는 구체적인 지명이나 역사적 사실 등 고유명사에 의해 작중공간을 형상화함으로써 작자의 실제 경험과 정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태도를 지향한다. 따라서 <면앙정가>는 현실적 공간의 설정을 통해 실제로 작자 자신의 실제 삶의 모습과 경험, 정서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게 된다. <성산별곡>의 작중 공간은 현실적 공간과 관념적 공간이 결합된 복합적 공간 유형으로, 작중 공간을 구체적인 지명에 의해 현실적 공간으로 설정하면서도 거주공간을 관념적으로 형상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화자의 지향이 단선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이원화됨으로써 대립된 두 지향 사이에서 화자가 갈등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성산별곡>은 복합적 공간의 설정을 통해 ‘出’과 ‘處’라는 두 지향 사이에서 오는 갈등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게 된다. 이러한 작중 공간의 분석을 통해서 볼 때, 가사의 작중 공간 형상화 양상은 가사 창작 동인이나 의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중 공간 형상화 양상에 대한 분석은 지금까지 강호가사 유형으로 분류된 가사작품들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가 되지 않을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author's intentions in writing as seen in the depiction of the setting within the work in Sangchungok, Myeonangjeongga, and Seongsanbyeolgok, which have been classified as "rivers and lakes gasa." That is, it is not the "what" the works sing but "why" they sing it that is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three work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setting within the work: abstract space, realistic space, and a composite of abstract and realistic space. The setting in Sangchungok is depicted as an abstract space rather than the actual space in which the author lives, conspicuously expressing the abstract or emotional perception of the subject by depicting the setting using common nouns and conventionalized metaphors. That is, the author placed emotional satisfaction first and thus depicted what he desired rather than showing his subject realistically. Thus, Sangchungok uses an abstract setting to hide the author's actual life and present a sketch of him as the ideal retired scholar. Myeonangjeongga features a realistic space that can be equated to the actual space in which the author lives, tending toward an attitude which realistically portrays the author's experiences and emotions by depicting the setting using proper nouns, such as actual, specific place names or historical facts. Thus, Myeonangjeongga uses a realistic setting to place the emphasis on factual portrayal of the author's life, experiences, and emotions. The setting in Seongsanbyeolgok is a composite of abstract and realistic space, presenting a realistic setting through the use of specific place names while at the same time establishing the space inhabited by the author in abstract terms. That is, the work does not present the speaker's choice of action monistically but dualistically, showing the speaker's struggle between these two conflicting courses of action. Thus, Seongsanbyeolgok uses a composite setting to focus on the conflict coming from the opposition of the two courses of "leaving" and "staying." From this analysis of settings within these works, it becomes clear that the depiction of setting in gasa is closely related to the motivation for or intention behind writing the gasa. Thus, it is possible that an analysis of these settings may be a clue to expla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gasa that have heretofore been classified as "rivers and lakes ga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