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곡 영환(金谷永煥) 작 봉원사(奉元寺) 약사여래회도의 연구 (A study on Geumgokdang Yeonghwan`s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at Bongwonsa templ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12
35P 미리보기
금곡 영환(金谷永煥) 작 봉원사(奉元寺) 약사여래회도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5호 / 43 ~ 77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초록

    봉원사 약사여래회도(1894년)는 19세기 서울·경기지역의 대표적 화승인 금곡 영환이 말년에 조성한 불화로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 불화의 수화승인 금곡 영환은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1858년) 를 개금 편수로 참여하여 제작한 이후 19세기 후반에 서울·경기지역을 대표하는 화승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약사여래회도 이외에도 괘불도·석가여래회도·아미타여래회도·칠성도·지장보살도·신중도 등 다양한 주제의 불화를 조성하였다. 영환의 화풍은 안정적인 구도와 전통적인 화풍을 조합하여 근대기 불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금 채색을 비롯한 채색에 뛰어난 기량을 보여 준다.
    영환의 화풍 연원에 대한 연구는 그의 활발한 작품활동에 비해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았다. 그런데 그의 초기작인 미타사 금보암 관음보살상의 개금 불사(1862년) 기록에서 중봉 혜호를 수화승으로 모시고 개금에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혜호가 영환의 스승임을 파악하고 화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봉 혜호는 수화승 화담 신선이 조성한 흥천사 괘불도(1832년)부터 불화가 확인되며, 금곡 영환이 주석했던 남양주 흥국사의 주요 불사에서 활동하고 있다. 영환은 중봉 혜호가 참여한 흥천사 괘불도(1832년)와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1858년)의 도상을 이어받은 백련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1868년)를 제작하고, 혜호가 제작한 「불설아미타경요해」권수 판화(1853년)의 도상을 계승하여 경국사 아미타여래 괘불도(1878년)를 수화승으로 조성하고 있다.
    영환의 스승인 중봉 혜호는 조선 후기 승려 화악 지탁(華嶽知濯)의 제자 화담 경화(華潭敬和)의 선을 이어받은 제자로 『삼봉집』 「화담대사부도비명」(1869년)에서 인허 성유, 월하 세원, 수봉 법총과 함께 기록된 선승이다. 이들은 남양주 흥국사를 중심으로 한 불사와 봉은사 판전 불사(1856년)를 비롯한 주요 불사를 함께하면서 화맥을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남양주 흥국사에 주석했던 영환도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화담 경화의 문도인 인허 성유와 연계되어 불화를 조성하면서 화담 신선, 수봉 법총, 월하 세원, 중봉 혜호 등의 화풍과 연결된 화맥을 이어받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examined th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at Bongwonsa temple in Seodaemun-gu, Seoul, created by Geumgokdang Yeonghwan in 1894. The main feature of the cult of Bhaiṣajya-guru was its emphasis on the healing power of Bhaiṣajya-guru, as part of the worldly benefits that worship of him guaranteed. Bongwonsa temple was served as Wondang(願堂), which prayed for the good fortune of the royal family. This painting was made the year after the Bongwonsa Yaksajeon Hall was a building built in 1893. Yeonghwan began to appear first on the Buddhist banner painting at the Heungguksa Temple in Namyangju created in 1858. He acted as a monk painter representing the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19th century. Besides th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Yeonghwan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of various themes including Buddhist banner paintings and Sakyamuni and Amitabha Buddha paintings, Tejaprabha buddha paintings, Ksitigarbha paintings, Buddhist deity paintings. He is exhibited outstanding skills in stable screen composition, the form of sacred images such as Buddhas and Bodhisattvas, stylistic expressions of color and pattern, etc. He is Jungbong-Heaho(中峯 慧皓)s student, and he is following Hwadam-Kyunghwa(華潭敬和) schools.
    The eight paintings of Bhaiṣajya-guru buddha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the 19th century were identified at the Huncheonsa(1847), Backrunsa(1890), Heungguksa in Namyangju(1892), Bongwonsa(1894), etc. These painting of Bhaiṣajya-guru Buddha shows the influences of the painting style of Geumgok-Yeonghwan(金谷永煥).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