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곡 처능(白谷處能)의 사상과 시적 형상화의 특징 (The Characteristic of Baekgok Cheoneung’s Thought and its Poetic Express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2
29P 미리보기
백곡 처능(白谷處能)의 사상과 시적 형상화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5호 / 211 ~ 239페이지
    · 저자명 : 오철우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백곡 처능(白谷處能 1619-1680, 이하 백곡)의 사상의 특징과 선심의 시심화 세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벽계 정심-벽송 지엄-부용 영관-부휴 선수-벽암 각성의 법맥을 계승하고 있는 백곡은 8,150여자에 이르는 장문의 상소문 <간폐석교소>를 올려 불교탄압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시정을 간청함으로써 강력한 ‘호법의지’를 보여주었다. 백곡의 이러한 적극적인 ‘호법의지’로 불교탄압이 완화되고, 풍전등화와 같았던 불교는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백곡은 마음이 일체의 근본임을 깨닫고, 지관(止觀)을 통하여 본래 모습을 찾고자 하였다. 그래서 백곡 사상의 특징은 ‘선자심야(禪者心也) 교자회야(敎者誨也)’라고 정의하고, 선(禪)은 마음으로 전하고, 교(敎)는 말을 빌려 널리 전한다고 보았던 점에 있다 할 수 있다. 대체로 선사들은 선교일치를 강조하면서도 선을 우선시 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백곡은 선과 교를 구분하는 것조차 잘못이라고 보았으며, 선과 교를 나누어 상호 비방하는 경우를 통렬히 비판했다. 그 이유는 선과 교가 한 근원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백곡의 유가에 대한 이해와 시적 재능을 일깨워 주는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은 당대의 문장, 시, 서화의 대가인 신익성(1588-1644)이다. 백곡은 신익성에게서 유가와 시문학을 체계적으로 배워 사대부들과 함께 시문을 교유할 정도로 탁월한 시적 재능을 보였다. 백곡의 이러한 시적 재능은 자신의 마음이 곧 부처이므로 마음 밖에서 따로 구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한 선심(禪心)의 묘의를 담아낸 시문학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즉, 마음이 일체의 근원임을 내세우며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고 관조하는 구도와 깨달음의 과정, 탈속 무애한 무심의 경지, 승속 교유 등의 선심이 간결한 언어와 상징, 함축성을 기반으로 하여 잘 표현되고 있다. 백곡의 이러한 시문(詩文)을 묶어 놓은 것이 ≪대각등계집≫이다. 여기에 수록된 시들은 호불사상과 ‘색심불이(色心不二)’ 사상을 기반으로 한 선심의 시심화를 간결하고도 함축된 언어로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타자와 내가 분별과 차별이 없는 ‘색심불이’의 사유를 고도의 비유와 상징, 이미지를 통하여 표현한 선심의 시적 변용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into the features of Seon master Baekgok Cheoneung(1619-1680)’s thought and his poetic aesthetics form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ruth and enlightenment, of communing with nature and outside the secular world, and of guiding his disciples and lay people. Baekgok Cheoneung was a typical model of Seon masters in middle Joseon Dynasty, and he also took a grea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eon poetry by expressing the world of Enlightenment in more simple and symbolic poetic dictions. Insisting that the mind is the basis of everything Baekgok Cheoneung tried to see the original nature through Samatha-vipassana rather than an idea. Therefore, in his poetic world originated and creat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he Truth and Enlightenment, his Seonistic no-mind, dignified and without attachment, is more lyrically depicted well.
    Succeeding the thought of Gakseong Byokam’s ‘Seon and the Doctrinal School are not different but the same one,’ Baekgok also practiced Seon and the Doctrinal Schools. He asserted that mind is the basis of everything. He attempted to find the original nature through Samatha-vipassana, and expressed his Seon mind in more simple and condensed poetic images and dictions as well. Hence, his poetic world, created in the course of his severe practice and enlightenment, is more lyrically depicted well.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 of Baekgok's poetic formation is the very beautiful combination of Seon intuition and poetic imagination. That's why the world of his enlightenment through the good combination of Seonistic intuition and poetic imagination in harmony with nature is depicted in his poetry well.
    In particular, originated and deepened in the practical course, Baekgok's poems include dharma fragrance, which can let conflict and attachment go and the fullness of emptiness in Covid-19. Consequently, reciting and appreciating Baekgok's simple and garbled poems can be a way to calm down our bubbly mind and to enjoy empty-mind. In this vein, the poetic description of Seon mind is the very Baekgok's poetic aesthetic of enlightenment and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