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천 신유한의 「山有花曲」에 나타난 여성 인식과 그 의미 (Women’s perception and its meaning in “Sanyuhwa-gok” by Cheongcheon Shin Yu-Ha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10
29P 미리보기
청천 신유한의 「山有花曲」에 나타난 여성 인식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8호 / 69 ~ 97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초록

    靑泉 申維翰(1681-1752)은 탁월한 문학적 재능으로 일본 통신사 제술관을 역임했다. 신유한의 민요풍 한시인 「산유화곡」은 선비가 民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신유한은 서얼출신이지만 시와 문장에 대한 능력이 뛰어났다. 특히 당대의 민속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
    신유한은 당대 전해지는 향랑의 고사를 정확히 인식하며, 세속의 민요를 기록하고 있었다. 나아가 직접 「산유화곡」을 짓고 있었다. 신유한은 이 노래가 한나라 때의 「공작동남비」와 짝이 될 만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산유화곡」은 당대 민중 노래의 경향을 잘 알 수 있다. 신유한은 「산유화곡」을 창작하기 이전, 세속의 향랑 설화에 관해 서사적으로 기록을 하며 관심을 가졌다. 당대 여성의 삶을 향랑의 삶에 투영시켜 관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간접적으로 민요라는 노래를 통해, 당대 현실의 여성에 대한 사회적 문제점을 직시하고 해결 및 승화시키고자 했다. 즉 「산유화곡」을 통해 당대 문제의식에 대한 현실적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산유화곡」은 향랑 설화와 당대의 여성 신분에 대한 恨의 정서를 투영하고 있다. 이는 여성의 고독과 울분의 정서가 함의되어 있다. 즉 전통적인 가부장적인 사회 제도가 임병양란 이후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은 현실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恨의 정서는 현실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신유한의 「산유화곡」은 향랑의 서사성과 恨의 정서 표출에 있어 탁월하다고 본다. 이러한 신유한의 기록은 당대 민요와 민중의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서얼인 신유한에게 환치시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사회적․사상적․문학적으로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즉 여성 담론의 전환과 사회제도 개선으로 후대의 실학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민요라는 시가 양식을 통해 한시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기도 하다.

    영어초록

    Cheongcheon Shin Yu-Han (1681-1752) served as a Japanese communication envoy with distinguished literary talent. Shin Yu-han's folk song styled poem, “Sanyuhwa-gok,” was outstanding in its understanding of common people, particularly by a literary personality. Even though Shin Yu-Han was the son of a concubine, he excelled at writing poems and literary essays. He took a special interest in the folklore of those days.
    Shin Yu-han accurately recognized Hyangrang's incidents transmitted in those days, so he recorded secular folk songs. Furthermore, he wrote “Sanyuhwa-gok” by himself. He felt the song would be worth pairing with "A Peacock Flying Southeast (孔雀東南飛)," which is a poem describing the daily life of the Han Dynasty.
    “Sanyuhwa-gok” indicates the trend of folk songs at that time. Before creating “Sanyuhwa-gok”, Shin Yu-Han took an interest in Hyangrang folk tales of the 'secular world’, and recorded them. He observed women's lives in those days, and projected those experiences onto the life of Hyanrang.
    Facing up to social problems of the time, he tried to indirectly address them through his folk songs. In other words, he strived to make a realistic advance in important social issues through “Sanyuhwa-gok." “Sanyuhwa-gok” reflects on women's sorrow called "Han", together with “Hyangrang folk tales” regarding women's status in those days. This implies the loneliness and resentment of women. In other words, it reveals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ocial system that did not collapse eve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This “Han” sentiment could be a momentum to solving real problems.
    Shin Yu-han's “Sanyuhwa-gok” is excellent in expressing the narrative feature of Hyangrang, and the sentiment of “Han." In this regard, the works of Shin Yu-han include folk songs and people's interests of that time. In addition, the “Han” sentiment may have shown Shin Yu-han’s own feeling of sorrow, being the son of a concubine. This foreshadows social, ideological, and literary changes.
    The transition in the discourse about the female sex and improvement in social systems influenced the later thought of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addition, a new type of Chinese poetry came about through the "Minyo"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