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麻谷寺 眞影 奉安 殿閣과 19세기 후반 眞影 造成 佛事의 의미 (An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Shrines for the Portraits of Buddhist Monks in Magoksa Temple and the Buddhist Project to Produce the Portraits of Buddhist Monks in the Late 19th Centu)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麻谷寺 眞影 奉安 殿閣과 19세기 후반 眞影 造成 佛事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1호 / 97 ~ 127페이지
    · 저자명 : 이용윤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마곡사 진영을 중심으로 봉안 전각 변화에 따른 봉안 진영의 변화, 진영을 제작할 때 화승이 구현하고자 한 승려상의 이미지, 그리고 사찰 역사와 무관한 진영이 제작되고 봉안되는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마곡사 진영의 봉안 전각은 「泰華山麻谷寺事蹟立案」(조선 후기), 「麻谷寺事蹟兼使立案完文」(조선 후기), 『마곡사 재산대장』(1910)을 통해 국사당, 영자전, 심검당 영각, 상원암 영각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사당의 진영 봉안이 二國師에서 三國師체제로 변하고, 영자전이 사라지면서 소요대사진영 봉안 전통도 사라졌으며, 심검당 영각과 상원암영각 등 새로운 봉안 전각이 건립되면서 봉안되는 선사들의 진영 체제도 변화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마곡사 봉안 전각과 진영에서 가장 주목되는 곳은 상원암 영각과 그곳에 봉안되었던 진영들이다. 마곡사 상원암 영각에 봉안된 진영들은 18~19세기 마곡사를 이끌었던 逍遙門中의 위상과 실체를 보여준다. 특히 1861~1862년에 제작된 <錦波妙華진영>, <洪溪永日진영>, 그 이후에 제작된 <印月智幸진영>은 19세기 후반 마곡사 진영 조성 불사 과정을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19세기 호서 불교계에 부상하기 시작한 騎虛靈圭를 중심으로 한 서산휴정, 사명유정 등을 추모하는 양상 속에서 연고가 없던 마곡사 승려들은 어떤 명분과 실리를 통해 <임난 삼화상진영>을 봉안하였는지 그 역사적 맥락을 제시해보았다. <금파묘화진영>, <홍계영일진영>, <인월지행진영>, 그리고 <임난 삼화상진영>은 1860년대 마곡사를 거점을 활동한 畵僧 春潭奉恩이 조성한 진영들이다. 이 글에서는 춘담봉은이 마곡사 승려들이 의뢰한 진영을 제작하는데 있어 이상적인 승려상의 이미지를 어떻게 구현하였는지를 그가 그린 불화와 연결해 해석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late-19th-century portraits(jinyoung, 眞影) of Buddhist monks in Magoksa Temple to research the changes demonstrated within the enshrined portraits of Buddhist monks in connection with the changes of the enshrinement hall, the images of exemplary Buddhist monks that monk painters wanted the portraits to embody,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production and enshrinement of the portraits of Buddhist monks who were unconnected to the history of the temple.
    This study confirms that Guksadang Shrine, Yeongjajeon Hall, the Shrine of Simgeomdang Hall, and the Shrine of Sangwonam Hermitage existed through the Certificate on the Affairs of Magoksa Temple, Taehwasan Mountain(泰華山麻谷寺事蹟立案),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he Real Estate Certificate on the Affairs of Magoksa Temple(麻谷寺事蹟兼使立案完文), a supplementary document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for the Certificate on the Affairs of Magoksa Temple, and the Property Book of Magoksa Temple(1910).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portrait enshrinement in Guksadang Shrine shifted from the two-Guksa (national teacher or preceptor) system to the three-Guksa one, that the tradition of enshrining the portrait of Master Monk Soyo stopped at the same time as Yeongjajeon Hall ceased to exist, and that the system for enshrining the portraits of Buddhist monks changed with the construction of new shrines such as the Shrine of Simgeomdang Hall and the Shrine of Sangwonam Hermitage.
    The most notable shrine and portraits in Magoksa Temple are the Shrine of Sangwonam Hermitage and the portraits enshrined in it. Those portraits show the status and the true nature of the Soyo clan that led Magoksa Temple from the 18th - 19th century. In particular, the Portrait of Monk Geumpa Myohwa(錦波妙華) and the Portrait of Monk Honggye Youngil(洪溪永日) that were created from 1861 to 1862 and the Portrait of Monk Inwol Jihaeng(印月智幸) that was created after the two portraits represent the production process of portraits at Magoksa Temple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a historical context for the rationale that led the Buddhist monks of Magoksa Temple to enshrine the Portrait of the Three Great Masters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Imnan Samhwasang Jinyoung) although they had no connection with the three great masters, particularly given the emerging trend of mourning the death of the Buddhist monks who defended the country including Giheo Youngkyu, Seosan Hyujung, and Samyung Hujung. The Portrait of Monk Geumpa Myohwa, the Portrait of Monk Honggye Youngil, the Portrait of Monk Inwol Jihaeng, and the Portrait of the Three Great Masters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Imnan Samhwasang Jinyoung) were the portraits created by monk painter Chundam Bongeun(畵僧 春潭奉恩) who worked mainly at Magoksa Temple in the 1860s. This study explains how Chundam Bongeun gave shape to an idealized image of Buddhist monks in the production of these portraits that the monks of Magoksa Temple commissioned, in conjunction with the wider oeuvre of Buddist paintings that he cre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