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谷 『醇言』의 한국철학사적 位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Yul-Gok' Lao-Tzu commentaries 『SunEon』 and Korean Philosophical phas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12
30P 미리보기
栗谷 『醇言』의 한국철학사적 位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32호 / 45 ~ 74페이지
    · 저자명 : 조민환

    초록

    조선조에서 開明성과 聰明성을 통하여 전체를 통관해야만 보이는 物極必返의 진리가 우주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체득하라고 한 것은 사실 율곡이었다. 이러한 물극필반의 원리를 이기론에 적용하여 이해한다면 物極으로서의 퇴계의 主理論이 必返의 원리를 담고 있는 율곡의 理氣之妙적 사유로 나타났다고 본다. 즉 조선조 이기론의 변천을 중심으로 볼 때 이같은 물극필반의 원리를 알게 되면 조선조초기부터 이어져왔던 주리적 경향 혹은 주리파가 가치를 낮게 평가한 이 세계를 이루는 또 하나의 요소인 氣의 중요성이 대두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향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는 인물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율곡이다. 율곡은 그런 기운을 놓치지 않고 변화된 상황에 맞는 適宜한 權道 실천으로서 『노자』 주해서인『醇言』을 주해했다고 본다. 율곡은 화담과 같이 唯氣論을 주장하지도 않고, 이기묘합적인 사유를 통하여 두 사상을 종합적으로 묘합시키되, 退溪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를 중시함으로써 物極必返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과 ‘下學而上達’ 및 修己治人의 입장에서 이해된 『순언』은 理氣論에서 尊理적 사유 혹은 主理적 사유가 윤리적인 인간을 형성하게 하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기시킬 수 있는 사유의 절대성, 경직성, 편협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순언』에는 이단을 무조건 배척하는 입장이 아닌 상호 의사소통을 통한 통합과 공존의 논리, 포용의 입장이 담겨 있다. 진리에 대한 공명정대한 입장에서 출발한 율곡의 『순언』 주해는 이후 진리에 대한, 현실 인식에 대한 새로운 장을 열어주어 한국사상이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理 불변적 사유에 입각한 주리적인 입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를 중시하는 氣 중시적 사유에서 나올 수 있는 물극필반의 논리는 이전과 변화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전과 다른 새로운 차원에로의 전환점을 제공하였고, 이에 『순언』이 한국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 on the Yul-Gok' Lao-Tzu commentary 『SunEon』 and Korean Philosophical phase. There are many commentary on Lao-Tzu in China and Jo-Sun Dynasty. Why is it so difficult to search for common understandings i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on Lao-Tzu. All of them may reveal the commentator's thoughts of intellectual of his period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s of Lao-Tzu. In such sence Lao-Tzu was multi-facial text, Yul-Gok' Lao-Tzu commentary 『SunEon』 is one of them. The Lao-Tzu commentaries have diverged and coexisted in the history of Korea culture and philosophical thought, especially Jo-Sun Dynasty. Yul-Gok' the Lao-Tzu commentary 『SunEon』 focus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about Lao-Tzu in Jo-Sun Dynasty. Especially this commentary focus on the re-estabilishment of taoist tao's originality and Lao-Tzu's original thought througth confucious viewpoint. An ordinary confucianist regard Lao-Tzu as heretic. But Yul-Gok did not think alike.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upon comparison with confucious viewpoint, such as thought is reflected philosophical change in Jo-Sun Dynasty. In correct term, all kinds of things reach limit it always return counterforce. For this reason,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througth confucious viewpoint and as such his thought make a turning-point in Korean philosophical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