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杜谷 高應陟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A study on main features and the meaning of EungCheuk Go’s poet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02
33P 미리보기
杜谷 高應陟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45호 / 85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구의

    초록

    본고는 한평생 학문에 힘쓰며 살다간 두곡 고응척(高應陟: 1531-1605)의 시를 시에 요소에 맞추어 시의 의미와 자아의 지향의식을 고찰한 논문이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우리나라 성리학이 가장 왕성할 때였다. 그의 학풍은 경상북도 서북쪽의 지방의 학맥을 잇는다. 그가 태어난 선산과 이사하여 살았던 상주(商州) 지역의 학맥과 통한다.
    두곡 시의 형식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의 시부(詩賦) 제목의 글자 수가 적다는 점이다. 그의 작품 1/3 이상의 제목이 3글자 이하이다. 이를 통하여 그의 성격이 간단명료하며 아울러 그가 성리학과 실학정신을 겸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시를 주고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그의 주변 사람들이다. 그 자신이 수학할 때거나 관직에 있을 때 지은 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그가 시의 제재로 한 것은 자신 가까이에 있는 사물이나 사람이었다. 자신이 생활하면서 접할 수 있었던 자연 경관이나 사물, 공부하면서 염두에 두었던 용어, 자신이 추구하였던 의식을 묘사한 것이 대부분이다. 넷째 시어에 있어서 그의 시에는 송나라 어록체(語錄體)나 그 뒤의 백화체(白話體)에 나오는 글자가 많이 나타난다. 내용면에서도 그의 시는 문학적이라기보다는 철리적(哲理的)이며, 묘사적(描寫的)이라기보다는 서술적(敍述的)이다.
    시의 요소를 통하여 본 그의 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잔잔히 울리는 리듬감이다. 자아와 자연이 서로 교감하고 있다. 그의 시를 보면 웅장하거나 요란한 리듬감을 지닌 시어(詩語)를 사용하지 않았다. 둘째 소슬한 정감의 회화성(繪畫性)이다. 그의 시는 차분하여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셋째 차분한 분위기와 정조이다. 그의 시에는 흥분하거나 분위기가 들뜨지 않았다. 넷째 그의 시의 풍격은 충담(冲淡), 소산(蕭散)하다. 이는 그가 감성적인 사람이 아니라 대단히 이성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외물의 변화에 자신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학자의 모습이 그의 시에 나타난다. 궁극적으로 그의 지향의식은 도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ungCheuk Go’s(1531∼1605) poetry, who dedicated his life to studying by focusing on poetry elements reflected in his poetry. DuGok lived in a period when Neo-Confucianism flourished. His poetic style follows the academic circles of the Northwest part of Gyeongsang Province. This means that his poetic style resembles Seonsan and Sangju style, where his family was locat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are following; First, the titles of his poetry are relatively short. More than one-third of his poetry titles have less than three letters. Throughout this, it can be seen that he had a simple personality. Furthermore, he did not only practice Neo-Confucius school of thought but also the empirical school of thought. Second, DuGok mainly exchanged his poetry with people who surrounded him. He wrote the majority of his poetry during his studies and while he was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Third, he got ideas from objects or people around him. Dugok’s poetry mainly depicts nature, objects that he could easily contact. Also, terminologies he considered during his studies and reflects the consciousness he pursued. Fourth, his poems used words from Song Dynasty’s acrostic style and an informal style or a conversational style. Regarding the contents of his poems, they are philosophical rather than literary, and descriptive rather than depictive.
    Throughout an analysis of poetic elements in Dugok’s poetry,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are: First, his poetry has gentle rhythm. He did not use either magnificent or rhythmical words in his poems. Second, looking at his poetry makes elements of paintings. His poems are calm therefore it is like looking at a piece of oriental painting. Third, his poetry has a calm vibe and tone. His poems neither seem to be excited nor thrilled. The atmosphere reflected in his poems is calm and tranquil. Fourth, his poetic styles are calm and fit to tradition or laws at that time. This indicates that he was not an emotional but rational person. The styles show a fortitudinous attitude of Neo-Confucianism disciples in continuous external changes. Ultimately, his intention was to pursue the mor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