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義城 大谷寺 나한전 존상과 조각승 卓密 (The Sculptures in the Nahan - jeon Hall of Daegok - sa Temple in Uiseong and Monk Sculptor Takmil)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11
42P 미리보기
義城 大谷寺 나한전 존상과 조각승 卓密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6호 / 1 ~ 42페이지
    · 저자명 : 송은석

    초록

    의성 대곡사 대웅전, 나한전(현), 대구 안일사 등 여러 사찰의 전각에 봉안되어 있는 존상들이 원래는 의성 대곡사 나한전(원)에 함께 봉안되어 있던 존상들임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대구 안일사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석가불좌상, 의성 대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있는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목조대세지보살좌상, 그리고 신축된 대곡사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16나한상, 소조제석천상, 소조판관상, 소조사자상 등은 의성 대곡사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다가, 20세기 중반경 나한전이 파괴되자 대곡사 내의 대웅전과 대구 안일사 등지에 흩어져 봉안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일사 석가상의 복장으로부터 석가불상이라는 존상 이름, 의성 대곡사라는 봉안처, 그리고 탁밀이라는 조각승의 이름 등이 기록된 발원문들이 발견되면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들 발원문의 진실성 여부를 가리는 일은 본 연구의 시작을 위한 첫 번째 과제였으며, 석가상에대한 양식 분석에 의해 조각승 탁밀의 제작품이라는 발원문 기록이사실로 판단되었다. 또한 탁밀이 조성한 영월 보덕사 아미타삼존상(1687), 울진 불영사 삼세불상(1704)과 얼굴, 의복 등의 세부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1694년에 제작되었다는 발원문 기록도 양식 변화 과정에 상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두 협시보살상을 조성한 조각승과제작 년대 그리고 존명을 검토하는 일은 두 번째 과제였다. 안일사 석가상과 대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두 보살상의 눈, 귀, 코 등 얼굴의 세부와 옷의 세부 표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보살상 역시 탁밀에 의한 제작품으로 판단되었다.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라는현재의 명칭은 아무런 도상적 근거 없이 부여된 것이었으며, 원래는나한전에 봉안되었던 미륵보살상과 제화갈라보살상일 가능성이 매우높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현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나한상, 제석상, 판관상, 사자상들은 얼굴의 세부 표현 방식에서 단응ㆍ탁밀파의 작품들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탁밀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되었다.

    영어초록

    The written prayers marking the original gilding (1694) and re-gilding work (1955) carried out on the wooden statue of seated Śākya-muni Buddha enshrined in Anil-sa Temple in Daegu reveal that it was made in 1694 for enshrinement in Daegok-sa Temple in Uiseong. According to the prayers, the Śākya-muni statue was made along with various other statues, including Maitreya Bodhisattva, Dīpaṃkara Bodhisattva and the sixteen Arhats, to be enshrined in the Hall of Arhats (Nahan-jeon Hall) of Daegok-sa Temple. Many of the original statues disappeared after the 1955 re-gilding work following the destruction of the hall, when the Śākya-muni statue was relocated to Anil-sa Temple where it is currently enshrined and the rest of the statues were moved to Daeung-jeon Hall at Daegok-sa Temple. The statues of the Arhats, Judges, Messengers, and Indra were later restored in the new Hall of Arhats, while the Maitreya and Dīpaṃkara statues were renamed Avalokiteśvara and Mahāsthāmaprāpta and placed as acolytes on each side of the principal Buddha, Śākya-muni, enshrined in thecentral prayer hall of Daegok-sa Temple. However, no one knows the whereabouts of the statues of the Generals(Vajrapāṇis), which should have been enshrined in the original Hall of Arhats.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set of sculptures of Buddhist deities originally enshrined in the Hall of Arhats at Daegok-sa Temple in Uiseong, which, as previously mentioned, were later displaced from the original shrine to other locations including Daeung-jeon Hall of the same temple and Anil-sa Temple. A study of the written prayers discovered in the hidden repository inside the Śākya-muni statue enshrined in Anil-sa Temple,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sculptural style of the statue, revealed that it was carved by a monk-sculptor named Takmil(탁밀, 卓密). A comparison of the Śākya-muni statue with other works by the same sculptor, such as the Amitabh Buddha Triad of Bodeok-sa Temple in Yeongwol (1687) and the Buddhas of the Three Generations (1704) in Buryeong-sa Temple in Uljin, also confirmed the veracity of the record in the written prayer stating that it was made in 1694.
    The two acolytes of the Śākya-muni Triad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Daegok-sa Temple were also closely reviewed to reveal when they were made and by whom. A comparison of the two bodhisattvas with the Śākya-muni statue in Anil-sa Temple revealed that the statues were made by the same sculptor, Takmil; that the bodhisattvas are the Maitreya and Dīpaṃkara statues originally enshrined in the Hall of Arhats at Daegok-sa Temple; and that their new names were given to them arbitrarily after their transfer to the new location. Finally,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statues of the Arhats, Judges, Messengers and Indra in the Hall ofArhats display the same style as other sculptural works by Daneung and Takmil, suggesting that they were made by the latter.
    Such a conclusion is backed up by a record on “the statues of Sixteen Arhats made of clay” contained in the written prayer marking the enshrinement of the Śākya-muni statue in Anil-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