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발지중(未發之中)’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이해 (Luo Jin Shun[羅欽順] and Yul-gok[栗谷]’s the theory of Wei-fa centrality[未發之中])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7.10
32P 미리보기
‘미발지중(未發之中)’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51호 / 181 ~ 212페이지
    · 저자명 : 최보경

    초록

    이 논문에서는 ‘미발지중(未發之中)’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해석을 근거로 미발의 때에 요구되는 수양론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미발지중’에 대한 해석은 성리학자들의 미발론을 파악하기에 유의미한 주제이다. 따라서 나흠순과 율곡의 미발의 중에 대한 해석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수양론적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나흠순의 ‘미발지중’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미발의 중을 본체의 의미에서 천명지성(天命之性)으로 보고, 인간을 넘어 사물까지 적용되는 개념으로 확장했다. 둘째, 미발의 중을 체인(體認)하기 위해 사(思) 개념을 미발의 때에도 적용했다. 셋째, 미발의 중을 존재 일반의 본체 개념으로 보고, 존양(存養) 공부를 축소하고 궁리(窮理)를 중심으로 객관성에 초점을 둔 수양론을 구축하고자 했다.
    율곡은 ‘미발지중’을 인간 심에 대한 논의로 한정하고, 함양 공부를 통해 가능한 이상적인 심리 상태로 봤다. 미발 함양 공부를 통해, 첫째 사려가 싹트지 않도록 함[思慮未萌]으로써 사욕(私欲)의 발동을 경계하고자 했다. 율곡은 사(思)를 철저히 이발의 때에 배속시키고 사욕의 발동 여부와 관련시켜 논의했다. 둘째, 지각불매(知覺不昧)를 긍정함으로써 이발의 때에 합리적 인식을 위한 잠재적 지각 능력을 기르고자 했다. 따라서 평상 시 존양(存養) 공부가 이발 시(時) 격물치지(格物致知)의 귀착점으로 보고, 미발 함양과 이발 성찰의 병진(竝進)을 강조했다.
    ‘미발지중’에 대한 나흠순과 율곡의 이해는 사(思), 사려미맹(思慮未萌), 지지(知至), 지각불매(知覺不昧) 등과 입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며, 이러한 논의 구도는 그들의 수양론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유의미하다. 따라서 이를 통해 명대 심학이 대두되던 시기의 나흠순과 주자학 수용·계승 시기 율곡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ason why Yul-gok[栗谷] supports Zhu Xi’s Theory of Wei-fa[未發] cultivation. Zhu-Xi already criticized centrality-seeking[求中] mediation and mediation named yi-fa-cha-shi[已發察識] prevailed Hu-xiang during the Song dynasty. Through the critiques, Zhu-Xi acquired academic authority. This is reason why Yul-gok[栗谷] supports Zhu Xi’s Theory of Wei-fa[未發] cultivation.
    The author focuses on Wei-fa centrality[未發之中]. Specially, the author will examine Luo Jin Shun[羅欽順] and Yul-gok[栗谷]’s Wei-fa centrality[未發之中]. The examination is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of all, Luo Jin Shun[羅欽順] and Yul-gok[栗谷]’s the definition about the notion of Wei-fa centrality[未發之中]; secondary, thinking[思] or intentional thinking[思慮]; and lastly, cognition[知] or awareness or perception[知覺].
    Luo Jin Shun[羅欽順] criticized Zhu Xi’s Theory of Wei-fa[未發] cultivation. To emphasize centrality-seeking[求中] mediation, he refers to unique thinking[思] notion that is yi-fa[已發] and wei-fa[未發]. But Yul-gok[栗谷] refers to thinking[思] that is yi-fa[已發], through effort Wei-fa[未發] cultivation he emphasized non-intentional thinking[思慮未萌]. Also Luo Jin Shun[羅欽] minimized Theory of Wei-fa[未發] cultivation and emphasized cognition[知] which seek ontological Wei-fa centrality[未發之中]. However, Yul-gok[栗谷] focused on the effort self-awareness and awakening[知覺不昧]. That is Yul-gok[栗谷] emphasized Theory of Wei-fa[未發] cul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용봉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