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谷의 華夷論 硏究 -「箕子實記」를 中心으로- (A study on Hwayiron of Yulgok - focused on「Gijasilgi」-)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2.09
20P 미리보기
栗谷의 華夷論 硏究 -「箕子實記」를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4호 / 373 ~ 392페이지
    · 저자명 : 유성선

    초록

    본 논고는 栗谷의『栗谷全書』에 기록된「箕子實記」를 중심으로 율곡의 華夷論을 기술하였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했던 方法論이자, 21C에도 여전히 적용가능한 世界觀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율곡전서』의「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華夷論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기자와 기자동래설 등의 진위문제를 사상사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정착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 조선이라는 국호의 선택과 조선 후기 小中華라는 신념의 실체가 되고, 한민족 역사와 실체 인식의 중요한 뿌리가 되었던 것이 바로 箕子東來와 그에 의한 교화라는 역사적 사실 인식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사학계의 비판적 고찰에 의해 그 진위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거나 기자와 관련된 기존의 인식의 부당함을 밝히게 됨으로써 이제는 오류 신념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중국학계는 東北工程의 일환으로 箕子와 箕子朝鮮은 商周史의 일부로서 殷과 商의 후예가 조선반도에 세운 지방정권으로 중국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기자는 실재한 철학가, 정치가로서 기자조선에서부터 중국 동북사가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기자동래를 설명하는 논리는 기자동래설 자체가 허구이며 중화적 우위성을 부각하기 위한 역사적 가공이란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율곡이 제기했던 기자의 殷人 문제, 기자동래설, 기자조선의 위치 문제 등의 虛와 實은 우리 철학계에서도 고고학적 ․ 역사적 검토처럼 진위의 문제를 분명하게 검토할 때이다.
    이에 논자는 율곡의「기자실기」는 21C 화이론의 성격규명에 다각도로 검토될 수 있으며, 이제 사상계에서 기자조선의 虛/實 진단과 검토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기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scribed Hwayiron of Yulgok focusing on「Gijasilgi」recorded in Collected Works of Yulgok『栗谷全書』. Hwayiron is a methodology with which Chinese people recognized social world. And Hwayiron is a view of the world, which is still applic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Collected Works of Yulgok』and「Gijasilgi」.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uth of Gija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in the aspect of thoughts.
    Gija's ruling over Gojoseon was established in Goryeo dynasty and entering Chosun, it became real entity for selection of the country name called Chosun and belief for small China in later Chosun. And it also became important root for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its recognition of real entity. Thus, in Korean there was recognition of historical fact for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edification by Gija's ruling over Gojoseon. But such recognition was questioned by criticism from historical circle if it is true, or it was figured out that existing recognition related to Gija is unreasonable. As a result, now it is understood as only false belief. As part of China`s Northeast Project, Chinese academic circle included Gija and Gija Chosun into Chinese history- Gija Chosun was local government that descendent of Shang dynasty established in Chosun peninsula. And Chinese academic circle says that Gija is real philosopher and politician, and Chinese Northern and Eastern histoy began in Gija Chosun.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that logic to explain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fiction and historical manipulation to clearly show superiority of China. Accordingly, like archeological and philosophical study, now is time for our philosophical circle to clearly investigate if Gija Chosun etc. are true - Yulgok raised issues on Gija's nationality, Gija's ruling over Gojoseon, location of Gija Chosun etc.
    Accordingly, the author emphasized that「Gijasilgi」of Yulgok can be reviewed in exploring character of 21c Hwayiron and now it is urgent for the world of thoughts to check and review truth and falsehood of Gija Chos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