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질서와 새로운 화이론 < 목 차 > 1. 문제의 제기 2 ... . 화이론의 탄생과 발전 3. 조공-책봉 관계 1) 서구학계의 견해 2) 일본학 ... 화이론의 변용 1) 송시열의 화이론 : 조선중화주의 2) 홍대용의 화이론 ... 華夷論이 바로 그것인데 그러면 이 화이론은 무엇이며 화이론에 따른 조공 ... 당시 화이론을 주변국가인 조선은 어떻게 이해하고 변형했는지 지도와 역사
화이론(華夷論)과 민족주의(民族主義) - 역사 속에 나타난 의식의 고찰 ... 1. 들어가는 말 화이론(華夷論)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중국이라는 ... 성립의 시기가 중요한 것은 유교라는 사상적 체계가 화이론과 중화 ... 살펴보고 화이론과 민족주의의 개념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가겠다. 2. 본말 1 ... )조선조 국제관념의 기본적 구조 .중화사상, 화이론. 「우리 역사에
화이론의 전개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春秋時代의 華夷論 형성 ... 처한)한계가 있게 되었다.) ⅳ.무역에 나타난 화이론 송대의 무역은 ... 있다. 중국은 화이론의 영향을 받아 국가가 운영되었지만 그 모습은 다르게 ... 》第15輯,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2. 화이론의 전개 ) 李春植
During the Song(宋) dynasty, neighboring other ethnic countries such as Liao(遼,) Xi Xia(西夏), Jin(金), Yuan(元) were powerful. So they frequently invaded..
中華와 夷狄의 차이를 분명히 하는 왕부지의 華夷論은 분명 그의 기철학에 그 근원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왕부지는 인간이 불선한 이유를 氣가 아니라 質에서 찾고 있다. 質은 형질이라는 측면에서 물질적으로 외화된 상태로서 기와 달리 이미 고정화되고 규정화된 상태로 기에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