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士大夫의 山水遊觀과 九曲遊覽 (The travel perception in the nature of Sadaebu and the Travel of Gugok in Joseon Dynas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06
32P 미리보기
조선시대 士大夫의 山水遊觀과 九曲遊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7호 / 369 ~ 400페이지
    · 저자명 : 이상균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활발히 경영되었던 구곡원림을 사대부들이 즐겨 유람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구곡은 유가적 사상을 근간으로 한 사대부들의 산수유관에 부합되는 유람명소였다는 점과 구곡의 중심인물이 속한 학파적 배경이 있는 후학들이 자주 유람하고 결속력을 공고히 하는 등의 유람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의 구곡문화는 주자의 「무이구곡」 수용으로 시작되었고, 이황⋅이이를 중심으로 성리학이 심화되는 16세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정착된다. 사대부들은 구곡원림을 설정하고 경영하여 조선에서 주자의 「무이구곡」을 구현하고자 했다. 구곡의 중심인물은 이황⋅이이 등 조선 성리학자들이었다. 주로 영남⋅기호학파의 중심무대였던 경북과 충북을 중심으로 구곡문화가 번성하였다.
    사대부들의 산수유관은 유가적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유람은 공자와 주자를 본받아 산수에서 호연지기를 기르는 등 학문의 발전과 성취를 위해 일생에 한번쯤 행해야 하는 문화행위로 인식하였다. 구곡은 대부분 수려한 경승에 설정되었고, 특히 사대부들이 학문과 사상적 이념으로 삼았던 성리가 구현되는 장소이자 선학의 자취가 배어 있는 곳이라는 장소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구곡은 수려한 경승과 더불어 유가적 학문의 실천사상이 강하게 배어있다는 장소적 특수성으로 인해 사대부들의 산수유관에 적합한 유람명소로 부각되었다.
    조선의 구곡에는 구곡의 최초 경영자, 또는 후학들이 구곡을 설정하게 되는 중심인물이 있었다. 그러므로 구곡은 그 중심인물이 주자의 학문을 계승하고 성리의 도를 실천했던 장소라는 상징성과 학파적 배경이 있는 장소가 되었다. 구곡의 유람객도 중심인물의 학맥을 계승한 후학들이 많았다. 사대부들은 구곡유람을 통해 선학의 자취를 기념하고, 門徒들과 교유하며 학파적 결속력을 공고히 하였다. 이는 금강산이나 팔경의 유람에서는 볼 수 없고, 학문적 宗祖의 강학처⋅은거지 등이나 구곡유람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영어초록

    The culture of Gugok(九曲) accepted Mui-Gugok at first and it was developed in the 16C when the Confucianism was developed by Lee, Hwang(李滉) and Lee, I(李珥). Sadaebu establish Gugok forest garden and managed it In order to realize Mui-Gugok made by Chu, His(朱熹). The main character of Gugok was neo-Confucianism scholar such as Lee-Hwang, Lee-I. The culture of Gugok had mainly flourished in the Gyengsangbuk-do and Chuncheongbuk-do which was the center stage of Kiho Scholastic Cycle(畿湖學派) and Yeongnam Scholastic Cyclel(嶺南學派).
    Travel perception in the nature(山水遊觀) of Sadaebu based on Confucianism. Travel was recognized as the cultural activity which had to do in the life in order to accomplish their studies. Gugok was located in scenic beauty and the place of accomplish Neo-Confucianism. Also the place has the special meaning of having practical Neo-Confucianism. That is why Sadaebu prefer to it as Travel perception in the nature.
    There was the teacher and students who studied Confucianism in the Gugok. Gugok was the place of practicing truth of Neo-Confucianism. Travelers in the Gugok were younger students who succeed to their teacher. Sadaebu celebrated the trace of ancestors and had a social intercourse with classmates.
    These are the special things in the Gugok travel and were not seen in the Geumgangsan(金剛山) and Palkyoung(八景). This is because the travel of Gugok showed the progenitor’s pursuit of study and the place of retir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