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文華)한 장원(莊園): 1804년작 《임곡운구곡도(臨谷雲九曲圖)》의 회화사적 고찰 (Culturally Cultivated Landscape : An Art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1804 Im Gogungugokdo)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문화(文華)한 장원(莊園): 1804년작 《임곡운구곡도(臨谷雲九曲圖)》의 회화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0호 / 381 ~ 420페이지
    · 저자명 : 박효은

    초록

    국립춘천박물관 브랜드존 <금강산과 관동팔경>에 《곡운구곡도》와 나란히 전시된 《임곡운구곡도》는 김수증(1624-1701)이 그린 ‘산수도’ 내지 ‘구곡도’로 불리는 한편 《곡운구곡도》의 1804년 모사본으로도 알려져 있다. 지금껏 학술적 고찰의 대상이 되지 못한 이 화첩은 규모나 구성, 재질, 주문자, 제작연대, 구성과 특징, 화단과의 관계 및 작자 등이 미지의 상태다. 이 글은 화첩의 현재 상태와 제작경위, 제작시기를 검토한 뒤, 그 내용과 구성, 화풍을 분석해 고전적 이상향의 구현양상과 조선 후기 화단에서의 작업맥락을 화풍 위주로 조명함으로써 잘못 알려진 작자를 교정하고 회화사적 의의를 구명해 원본과 모사본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본래 합벽첩 한 권에 속한 《임곡운구곡도》의 19폭 낱폭 서화는 1804년에 안동 김씨 김달순(1760-1806)의 주문으로 《곡운구곡도》를 수리, 재장황하는 과정에 산출된 모사본이다. 《곡운구곡도》는 1670년대를 통해 강원도 화천에 있는 장원에 별서를 조성한 곡운 김수증이 남송대 학자 주희가 행한 무이구곡 조성, 무이도가·무이구곡도 창작의 뜻을 좇아 1682년에 조세걸에게 직접 곡운구곡 실경을 그리게 하고 1692년에 아들, 손자와 더불어 시문으로 읊고 써서 완성한 서화첩이다. 김수증의 장원을 무이구곡, 도화원, 망천장에 준하는 문화한 공간으로 규정한 이 서화첩이 낡고 더러워진 19세기 초에 그 후손들은 선조의 행적과 학문, 문예를 기념하고 가문의 명성을 계승하고자 《곡운구곡도》를 보존하는 한편 《임곡운구곡도》를 새로 제작하였다.
    실경·실물에 대한 관심, 관찰과 경험을 중시하는 실학적 사고가 강화된 조선 후기에도 문자언어와 형상언어의 결합, 세련된 남종화풍 구사는 회화가 가치 높은 특수한 물건으로 인정받는 데 있어 관건이었다. 그런 가운데 《임곡운구곡도》를 그린 화가는 원본의 내용과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서 고전적 이상향에 대한 새로운 서사 구현, 남종화풍의 심화된 이해를 자연스럽게 실현할 만큼 지적이었다. 그가 다양한 남종화풍을 소화한 점은 『개자원화전』 섭렵에 더해 황산파·정통파의 기법까지도 두루 구사한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또한 특정 모티프를 그리는 방식이나 세부필치를 검토한 결과 이인문 화풍과 시각적 친연성이 강해서 그의 지도나 영향을 받은 후배나 제자급 화원화가가 그린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초 조선 화원의 역량과 성취를 실증해줄 주요 작품 하나가 추가된 것이다.

    영어초록

    Im Gogungugokdo, exhibited in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Brandzone with Gogungugokdo, is referred to as either Gugokdo, the work by Kim Sujeung (1624-1701) in “Sansudo”, or referred to as an imitation of Gogungugokdo. Until now, Im Gogungugokdo, has not yet been made a subject of academic study, and the work’s scale, composition, material, commissioner, date, quality, original artist, and relation to the art world are relatively unknown. This study will examine Im Gogungugokdo’s condition, as well as the details and period of its creation, then analyze the work’s contents, composition, and style to shed light on its literary and artistic depiction of a classical utopia andits stylistic context in the late-Joseon art world, drawing on art historical meaning to illustrate the balance of perspectives in both the imitation and the original.
    Im Gogungugokdo, though currently existing as nineteen separate leaves, came about as an album combini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commissioned by Kim Dalsun(1760-1806), an influential member of the Andong Kim family clan,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original work, Gogungugokdo. The original work is a collection of paintings and poems created by “Gogun” Kim Sujeung, who was inspired by Song scholar Zhu Xi’s Muyi Gugok (“Nine-bend Stream in Wuyi Mountain”), Muyi Doga (“Songs of Nine-bend Stream in Wuyi”), and Muyi Gugokdo (“Pictures of Nine-bend Stream in Wuyi”), and thus created his own landscape, commissioning Cho Segeol in 1682 to draw the 9 beautiful valleys of Gogungugokdo first hand. Kim would then write the accompanying poems in 1692 with his son and grandson. While Gogungugokdo– a cultural landscape comparable to the likes of Muyi Gugok, Peach Blossom Spring, and Wangchuan Villa– was a family artifact that had become aged and worn out by the early 19th century, Kim Dalsun ordered not only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but also the creation of a new piece, Im Gogungugokdo, in order to commemorate the scholarly achievements and literary, artistic traces of the family clan.
    Ev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interest in reality, physical objects, and pragmatic thought set by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was heightened, the combination of words and images and the application of a refined Southern School painting style caused the painting to be well-recognized as highly valuable. Furthermore, the painter of Im Gogungugokdo understood well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and was able to embody newly narrative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al utopia, demonstrating Southern School style in an intellectual and well-mastered display of skill. The painter’s familiarity with various forms of Southern School style is no better displayed than in his homage to the style of Manual of the Mustard Seed Garden, as well to the Orthodox school and Hwangsan school styles. Upon further examination of the specific motifs and strokes in the painting, the influence of Yi Inmun’s artistic and visual styles can also be seen, suggesting that the painter may have been one of his students or followers. Thus, though the identity of the painter of Im Gogungugokdo is unknown, it can be seen as a major accomplishment, worthy of representing the achievements and skill of the era’s Joseon court pain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