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險瀆과 고조선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omdok and Old Jo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11
32P 미리보기
險瀆과 고조선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1호 / 77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남중

    초록

    이 글은 위만조선의 도읍과 관련이 있는 險瀆에 대해 살펴보았다. 應劭는 험독에 대해 “朝鮮王滿都” 또는 “朝鮮王舊都”라는 주를 남겼는데, “朝鮮王”은 위만조선의 왕을 지칭하며, “滿都”와 “舊都”는 모두 위만조선의 도읍을 지칭한다. 응소는 낙랑군 조선현에 대해서도 고조선과 관련된 주를 남겼는데, 이것은 위만조선 이전의 原고조선 세력과 관련된 것이며, 응소는 어디까지나 험독을 위만조선의 도읍으로 보았다. 험독의 위치와 관련해서는 昌黎에 험독이 있었다는 서광의 주가 주목되었으나 서광이 언급한 험독은 요하 서쪽에 있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누선장군의 왕검성 공격 기사로 볼 때 왕검성은 패수(혼하)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으며, 수로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태자하를 따라 들어갈 수 있는 요양・본계 일대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왕검성이 포함하고 있었던 험독은 이 일대에 위치하였다고 하겠다. 험독이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단정하기 어려우나 위만조선 또는 그 이전부터 토착 세력이 사용하였을 가능성은 있다. 험독의 어원에 대해 크게 한자어의 뜻을 염두에 두고 물의 험함에 의거하였다는 입장과 신(통치자)이 거주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토착 세력이 사용하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험독의 瀆은 ‘개울(물), 신성함, 동굴(구멍)’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는 글자로, 險瀆은 여기에 ‘험함’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단군 신화 상의 웅녀 이야기에서도 ‘동굴, 신성함, 물(水神)’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태자하 유역도 동굴 무덤 유적이 많이 조사되었고 물이 흘러나오는 동굴이 있다는 점에서 ‘개울(물), 신령함, 동굴(구멍)’의 이미지를 담고 있는 瀆이라는 글자와 통하는 면이 있다. 험독의 瀆은 단군 신화에 나오는 웅녀 이야기뿐만 아니라 태자하 일대의 자연 환경 등과도 어울리는 글자인 것이다. 이 지역은 고조선의 고고학적 실체로 이야기되고 있는 십이대영자 문화와 그 지류인 정가와자 유형의 유입으로 기원전 1000년기 후반에 상보 유형의 청동기 문화가 발전하였다는 점에서 환웅으로 표현되는 이주 세력과 웅녀로 표현되는 토착 세력과의 결합을 연상케 한다. 험독이라는 이름은 물길이 험하다는 지리적 상황뿐만 아니라 태자하 일대 고조선 토착 사회의 상황과 관련하여 나타난 이름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imes Heomdok(險瀆)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capital of Wiman Joseon. In Eung-so(應昭)'s comment about Heomdok, “The king of Joseon” is identical to the king of Wiman Joseon, both “Man Capital(滿都)” and “Old Capital(舊都)” refer to the capital of Wiman Joseon. The Eung-so's comment abut Nakrang Gun(樂浪郡) Joseon Hyeon(朝鮮縣) is associated with Proto Old Joseon force, Eung-so thought that the capital of Wiman Joseon was located in Heomdok.
    Seog-gwang(徐廣) annotated that Heomdok was located in Changyeo(昌黎), but it is problematic in the sense that Changyeo was in the east of the Liao He(遼河). When looking at the document recording the event The Han(漢) admiral Nu-seon(樓船) attacked Wanggeom Castle, Wanggeom Castle was located not far from Pae river(Hun He) and where the vessel was able to access.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Wanggeom Castle was located in Liaoyang(遼陽)・Bunxi(本溪) region where Taizi He(太子河) is flowing.
    Dok(瀆) letter of the Heomdok has the image of ‘brook(water), divineness, cave(hole)’, in addition to those images, Heomdok has more image of ‘rugged terrain’. By the way, such images appear at Bear female(熊女) story in Dan-gun Mythology. Furthermore, in the Taizi He basin it was discovered lots of cave tomb sites, among the caves are also water flowing. In this regard, Taizi He basin is consistent with the letter of Dok. Through such reviews, it can be seen that Heomdok is a name that reflects not only a geographical situation but the several situation of Old Joseon society in Taizi He bas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