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메니우스에서 종교 교육학과 종교 교육 방법론 -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카시오도르와 관련하여 - (Religionspädagogik und Methode der religiösen Erziehung bei Comenius - in Bezug auf Augustinus und Cassiodor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01
29P 미리보기
코메니우스에서 종교 교육학과 종교 교육 방법론 -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카시오도르와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문화 / 21호 / 62 ~ 90페이지
    · 저자명 : 조관성

    초록

    연구 주제에 관한 논증적 주장의 연구 보다 내재적 해석의 연구를 지향하는 아래 논문의 목적은, 철학사와 교육사에 주목하여 첫째로 코메니우스의 종교철학적 사유에서 우러나오는바 긴밀히 상호 결합한 채 성립하는 그의 종교 교육학과 종교 교육 방법론의 윤곽을, 둘째로 종교 교육학과 종교 교육 방법에 관하여 코메니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카시오도르가 각각 가지고 있는 거시적 시각과 총론적 견해의 특징을 나의 것과 타자의 것이 함께 만나서 융합하는 다문화 현상에 착안하여 밝혀낸다. 아래 논문은 다음과 같은 주요 논제들을 주장 한다: 1. 이 논문이 말하는 종교 교육학은, 코메니우스가 체계화하여 완성한 종교 교육학이나 글쓴이가 정식화한 코메니우스의 종교 교육학을 뜻하지 않고, 기독교적 종교 교육의 역사 안에서 두 가지 갈래로 범주화된 종교 교육의 자료에 관하여 코메니우스가 수행한 교육학적 주제화를 가리킨다.
    2. 코메니우스는 그의 종교철학적 사유에 기초하는 종교 교육학과 종교 교육 방법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가 대변하는 실재주의 철학 모형 또는 밖으로부터의 길과 아우구스티누스가 대변하는 내면성의 철학 모형 또는 안으로부터의 길 모두를 도입하면서 전자를 보조 모형으로 후자를 주요 모형으로 선택함으로써 상호 순환하고 상호 보완하는 이 두 가지 길 중에서 후자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3. 주제적 관심에 호응하여 심신 연결 모형과 심신 분리 모형을 오가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고 있는 코메니우스는, 지식 교육과 기예 교육 그리고 언어 교육과 도덕 교육 등에서는 심신 연결 모형에 정향하는 인간학과 세계관을 교육학의 발판으로 삼으며, 종교 교육학에서는 심신 분리 모형에 정향하는 인간학과 세계관을 따른다.
    4. 코메니우스는, 자기의 종교 교육학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암묵적으로 그리고 안셀무스가 명시적으로 주장하는바 신에 관한 사랑과 신앙에서 (곧 둘째 종교 교육 단계에서) 시작하여 신에 관한 이성적 인식으로( 곧 셋째 종교 교육 단계로) 전진하는 종교 교육 방법을 실질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지향하지 않으며 이러한 순서의 종교 교육 방법을 상세하게 주제삼지도 않는다.
    5. 코메니우스는 자기의 종교 교육학에서 타자 이성이 인도하는 훈육 교육 방식의 첫째 종교 교육 단계에서 시작하여 둘째 종교 교육 단계로 나아가는 곧 자기 이성의 동기에 따라서 신을 사랑하는 신앙으로 나아가는 종교 교육 방법을 주로 안중에 두고 있다.
    6. 신의 지배가 절대적으로 엄중하지 않았던 근대를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코메니우스는 종교 교육의 내용을 이루는 양대 기둥인 기독교 전통(기독교적 학문)과 이교도 전통(세속적 학문)에 관한 거시적 시각과 총론적 견해에서 신의 지배가 절대적으로 엄중했던 중세의 문턱에서 삶을 영위한 아우구스티누스와 카시오도르 보다 기독교 전통에 대하여 더 보호적이며 이교도 전통에 대하여 덜 개방적이며 덜 포용적이며 덜 관용적 이다.

    영어초록

    Diese Studie geht nicht logisch argumentierend, sondern hermeneutisch auslegend und aufweisend vor. Sie versucht in Bezug auf Augustinus und Cassiodor, die auf Comenius religionsphilosophisches Denken gegründeten Religionspädagogik und Methode der religiösen Erziehung herauszuarbeiten. In dieser Abhandlung seien vor allem die folgenden Haupthesen hervorgehoben: 1. Religionspädagogik bei Comenius bedeutet weder Comenius Systematisierung der Religionspädagogik noch meine Formulierung seiner Religionspädagogik. Sie deutet auf Comenius pädagogische Thematisierung der Geistlichen Wissenschaften und Weltlichen Wissenschaften als religionspädagogische Bildungsmaterialien hin.
    2. Comenius benutzt in seiner Religionsphilosophie und Religionspädagogik den von Aristoteles und Aquinas vertretenen Weg vom Aussen her (d.h. den Weg aus der Gotteserkenntnis im Aussen) als Nebenweg und den von Augustinus erlebten Weg vom Inneren her(d.h. den Weg aus dem Gottesglauben im Inneren) als Hauptweg.
    3. Entsprechend seinem auf die zwei Welten gerichteten thematischen Interesse lässt Augustinus den Leib-Seele-Monismus oder den Leib-Seele-Dualismus als seinen philosophisch-theologischen Hauptstandpunkt hervortreten. Comenius als ein von Augustinus beeinflusster Pädagoge vertritt nach seinem pädagogisch-theologisch gefärbten Interesse zum einen in seiner auf Wissenschaften, Künste und Sprachen sowie Sittlichkeit bezogenen Pädagogik den Leib-Seele-Monismus und zum anderen in seiner Religionspädagogik den Leib-Seele-Dualismus.
    4. In seiner vom Augustinus religionsphilosophischen Denken beeinflussten Religionspädagogik steht Comenius nicht aktiv, sondern nur passiv für die von Augustinus implizite befürwortete und von Anselm explizite behauptete Methode der religiösen Erziehung, die von der zweiten Stufe der religiösen Erziehung im Blick auf den von Gottesliebe herrührenden Gottesglauben zur dritten Stufe der religiösen Erziehung im Blick auf die von eigener Vernunft geleitete Gotteserkenntnis übergeht. Nicht ausführlich thematisiert Comenius in seiner religionspädagogik die im eigentlichen Sinn begriffene Methode der religiösen Erziehung, die von der zweiten Stufe der religiösen Erziehung ausgeht und auf die dritte Stufe der religiösen Erziehung hinzielt.
    5.Comenius plädiert für die Methode der religiösen Erziehung, die von der ersten Stufe der religiösen Erziehung in der Form der von fremder Vernunft angeleiteten Diszplin in die zweite von eigener Vernunft motivierten Stufe der religiösen Erziehung im Blick auf den von Gottesliebe herstammenden Gottesglauben überleitet.
    6. Comenius lebte in die vom Gott nicht total bestimmte Lebenswelt der Neuzeit hinein, trotzdem war er nicht so tolerant gegenüber den heidnischen-philosophischen Schriften als Bildungsmaterialien wie Augustinus und Cassiodor, die in ihrer religiösen Erziehungslehre für das Zusammenspiel vom christlichen Eigenen und heidnischen Fremden eingetreten waren, obwohl sie in der Anfangsphase des im christlichen Gott fundierten Mittelalters gelebt hat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