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무요구와 직무소진(Job Burnout) 그리고 조직공정성 요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 Job Burnout and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6.04
22P 미리보기
직무요구와 직무소진(Job Burnout) 그리고 조직공정성 요인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5권 / 2호 / 367 ~ 388페이지
    · 저자명 : 박상언, 김민용

    초록

    본 연구는 공정성이론(Equity theory)과 직무요구-자원모형(Job-Demand Resource model)을 주요 이론적 배경으로하여, 공정성 지각이 조직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직무소진(job burnout)의 느낌을 완화시키는 한편, 직무요구와 직무소진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조업 생산직에 근무하는 총 164명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먼저, 사원들이 지각하는 분배공정성은 직무소진의 두 하위차원인 ‘고갈’(exhaustion)과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 (disengagement) 모두에 대해 부(-)적인 관계에 있었으며, 특히 직무요구를 많이 느끼는 사원들의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을 완화시키는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해 상호작용공정성 지각은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 차원에 대해서만 부(-)적인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경영관리적 의미와 본 연구의 한계점들이 토론되었다.

    영어초록

    Because of highly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s, many organizations are now introducing new forms of work design and various management reforms such as lean production, organizational downsizing, and business restructuring more than ever before. These initiatives may help to enhance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s, but simultaneously they may raise levels of job stress, job burnout, and other negative psychological and health-related outcomes among employees. For these reasons,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burnout phenomenon which employees experience in their job contexts, and they also have investigated the factors and conditions that contribute to job burnout in a wide variety of service, industrial, and corporate settings.
    In the nearly three decades since job burnout first entered the management literature, many findings have been cumulated. Specially, many conceptual and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burnout has important dysfunctional ramifications, implying substantial costs for both th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However, according to afore-mentioned research, there may be several job resources that can help to facilitate successful coping with highly demanding jobs, preventing or buffering such potentially harmful effects of these kinds of jobs like job-strain and burnout. Such resources may be located at the level of organization (e.g., salary, job security, career opportunities),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e.g.,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s, team climate), and the organization of work (e.g., performance feedback, skill variety, job autonomy etc.).
    Based on the Equity Theory and Job-Demand Resource Model of burnout, we can also expect that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perceive justice or fairness in their job contexts will have the same attenuating or buffering effect of job resources on their burnout.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justice perception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reward, performance appraisal and promotion etc.,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research that has focused on the role of the justice perception of employe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employee burnout.
    In this respe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the attenuating effects of justice perception of employees on burnout (i.e.,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and their moderating or buffering role as kinds of job resour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demands and burnout.
    The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64 Korean manufacturing workers produced moderately strong evidence in support of our expectations. Most importantly, justice perception affected job burnout negatively. Specifically, we found that the distributive justice which workers felt in the context of their work were negatively related to both dimensions of burnout, i.e.,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In addition, the distributive justice moderated or buffered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emands on the disengagement component of burnout. Meanwhile, interactional justice, which means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treatment taken from a supervisor, was negatively related only to the disengagement dimension of burnout, and it did not have any kinds of interaction effect.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for the implementing of high commitment and low-burnout inducing work practices are then discussed. Als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