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 국가의제, 그리고 대통령 리더십:'건국 헌법'과 '전후 헌법'의 경제조항 비교를 중심으로 (Constitution, Economic Reform, and Presidential Leadership:South Korea's 'National Founding Constitution'(1948) and 'Post-Korean War Constitution'(1954) in Comparis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8.03
26P 미리보기
헌법, 국가의제, 그리고 대통령 리더십:'건국 헌법'과 '전후 헌법'의 경제조항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48권 / 1호 / 429 ~ 454페이지
    · 저자명 : 박명림

    초록

    본 연구는‘균등경제’와‘시장경제’를 지향한 48년 건국헌법과 54년 전후헌법의 경
    제조항의 비교를 통해 헌법(제도), 국가의제(경제개혁), 리더십(대통령) 사이의 관계동
    학을 심층 분석한다.
    첫째 건국헌법은 토지개혁이라는 탈식민 개혁의제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자유주의 시
    장경제가 아니라 경제에 대한 국가의 강력한 개입을 규정한 사회적 시장경제나 사회민
    주주의적 균등경체제제를 지향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래의 공화주의 전통을
    따른 것이었다.
    둘째 남한정부와 이승만 대통령은 건국헌법을 적극 활용하여 최대 국가의제인 토지개
    혁을 실행하였고, 이는 급진좌파의 몰락과 농민계층에 대한 정부의 지지기반 확대에 결
    정적 영향을 끼쳤다. 지주와 한국민주당 역시 크게 약화되었다. 이는 핵심 국가의제의
    존재, 헌법원칙, 대통령의 리더십이 결합된 결과였다.
    셋째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한국의 헌법은 시장경제체제로 전이하였다. 토지개혁의 성
    공 및 좌파몰락으로 인한 탈식민 개혁의제의 성취, 그리고 전후 복구와 해외원조확보라
    는 새로운 국가의제의 등장에 따른 헌법정신의 변경이었다. 시장경제체제의 헌법적 근
    거는 건국헌법이 아니라 전후헌법에서 놓였던 것이다.
    넷째 전후 헌법체제의 경제 부문 개정은 미국의 강력한 요구로 인한 것이었다. 미국은
    건국헌법을‘국가사회주의’(state socialism) 헌법으로 보았다. 건국헌법의 사회주의
    적 지향과 조문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문제제기로 인해 한미 간에는 헌법조문 및 경제
    에서의 국가의 역할을 둘러싼 심각한 갈등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원조를 무기로 한 미
    국의 요구로 한국은 헌법의 경제부분을 시장경제체제로 개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미국
    은 시장경제체제를 지향하지 않는 남한정부의 과도한 경제개입을 저지할 필요성을 느꼈
    고, 이를 헌법개정을 통해 관철시키려고 하였던 것이다.
    다섯째 미국의 압력에 대해 경제조항 개정에 반대하던 이승만은 자신의 연임 개헌을
    추진하기 위해, 또 미국의 경제원조를 받아내기 위해 정치와 경제, 권력구조와 경제체
    제변경 사이의 교환전략을 구사하였다.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이승만의 교환전략은,
    “민주주의 후퇴, 시장경제 발전”이라는 조합을 만들어낸 셈이었다.
    여섯째 헌법개혁의 결과의 측면에서 전후 헌법은 큰 경제적 효과를 초래하여 한국의
    시장경제체제로의 진입과 미국의 원조 증가 및 내용 변경, 전후 복구의 성공과 한국 시
    장경제 토대의 구축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헌법변경은 미국의 원조의 규모와 내용에
    중대한 영향을 끼쳐 전후 한국경제 성장의 한 법률적 제도적 장치를 제공하였다. 또한
    전후 헌법의 경제조항은 현재까지 근본적 수정 없이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한국사회 발
    전경로의 헌법적 ‘제약조건’과‘가능조건’의 토대를 동시에 부여하였다.
    건국헌법과 전후헌법을 비교준거로 볼 때 한국의 초기 국가의제, 헌법, 리더십은 성공
    적인 상호 조응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난다. 즉 토지개혁과 전후복구 국가의제, 헌법원
    칙과 조문, 당시 리더십의 대응은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드러난다.

    영어초록

    Viewing from the perspective of combining national reform, constitution, and leadership, the
    success of South Korea in its formation period was one of the exemplar case in history. In 1948,
    at the time of state formation, South Korea has had the constitution of ‘social market economy’
    for the post-colonial reform including land reform. Based on the constitution,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resident Syngman Rhee succeeded in the radical land reform. It resulted in the
    simultaneous collapse of radical left and land lords.
    However,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vital national agenda in South Korea was
    fundamentally changed from the post-colonial reform to the post-war economic recovery and
    increasing the foreign assistance. Especially the American government asked so fervently and
    tenaciously to change the constitutional economic system from ‘state socialism’ to ‘market
    economy’. Then, the two governments were in state of serious conflict.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resident Syngman Rhee finally changed the economic system
    in 1954 by revising the constitution from social market economy to market economy system.
    During this process, there has been a very hot debate in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This
    constitutional change paved the foundation of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Then we can say, the initial South Korean trajectory was one prototypical combination of
    relational dynamics among the national agenda(economic reform), institutional arrangements
    (constitutional change), and presidential leade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