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세조선의 왕목-사직수, 문화사회적 임업,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 (The Royal and Sajik Tree of Joseon Dynasty, the Culturo-social Forestry, and Cultural Sustainabilit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09.03
16P 미리보기
근세조선의 왕목-사직수, 문화사회적 임업, 그리고 문화적 지속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98권 / 1호 / 66 ~ 81페이지
    · 저자명 : 이정호, 전영우

    초록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인간과 문화’의 새로운 시각에서 지속가능한 숲 관리는 ‘문화적 지속가능성’ 개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문화적 지속가능성은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문화의 높은 기여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근세조선의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서 현대의 문화적 지속가능성에 필요한 함의들을 추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의 첫 번째 왕이었던 태조와 관련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조선의 왕목이었고 왕도정치의 이념을 지지하는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 체제 속에서도 가장 상위에 속하는 사직제례와 관련 있는 사직수(社稷樹)였다. 사직 제례의 숭배대상은 토지신(社)과 곡식신(稷)인데 고대 사회의 수목신앙을 이으면서 유교적 신앙 및 예제에 편입된 것이 토지신이며 토지신의 구체적 모습이 사직수이다. 왕목과 사직수로서의 소나무는 조선 왕실 통치의 종교-정치적 정통성을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소나무의 종교-정치적 상징성은 여러 측면으로 표현되었다. 소나무는 조선 조정이 주관하는 예제가 봉행되는 신전과 사당을 위해서도 물적 기반으로도 쓰였다. 소나무의 이런 역할은 왕실 능원림, 왕실 관곽재를 위한 황장봉산의 소나무 숲, 왕의 거처 도성 내외사산 소나무 숲의 조성, 방제, 보전, 관료적 관리로 확대 표현되었다. 문화사회적 임업의 역사적 사례인 이러한 소나무 숲의 종교-정치적 관리 체계는 조선의 경제적인 숲 관리 체계인 송정이나 조선 전기의 의송처와 금산의 소나무 숲 및 조선 후기의 봉산 체계의 소나무 숲의 경영과도 비교가 가능하고 공통성과 고유성을 함께 보여준다. 왕실의 소나무 문화는 대중적 의식에도 영향을 끼쳐 백성들이 금표가 있는 능원림, 금산, 봉산에서 시행된 금양(禁養)된 토지 또는 숲과 바꾸어 쓸 수도 있는 ‘말림갓’이라는 순한국어 단어를 형성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근세조선은 사직단, 능원림, 황장금산 및 황장봉산, 도성내외 사산의 소나무숲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사회적 임업을 실행하였다. 조선 시대 소나무 숲의 보전과 경영에는 풍수지리, 민속신앙, 불교적 요소가 통합된 조선의 성리학적 신앙과 예제가 경제적 목적 보다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 여러 세대를 걸쳐 장기적인 문화-자연적 평형이나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문화적 지속가능성인데, 숲과 환경을 조성하고 보전하는 현대인이 문화-자연 유산을 발굴하고 여러 세대에 걸친 보전으로 변환하며, 문화적, 사회적, 정신적 필요를 충족하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초학제적 지식인 지속가능성 과학 지식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근세조선의 사례 연구의 함의로 추출되었다.

    영어초록

    From a new perspective of “humans and the culture of forming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th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can be reformulated under the concept of “cultural sustainability”. Cultural sustainability is based on the emphasis of the high contribution to sustainability of the culture of forming and conserving the environment. This study extracts the implications to cultural sustainability for the modern world by investigating a historical case of the culturo-social pine forestry in the Joseon period of Korea. In the legendary and recorded acts by the first king Taejo, Seonggye Yi,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was the “Royal tree” of Joseon and also the “Sajik tree” related intimately with the Great Sajik Ritual valued as the top rank within the national ritual regime that sustained the Royal Virtue Politics in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to the Neo-Confucian faith and royal rituals of Joseon, elements of geomancy (Feng shui), folk religion, and Buddhism had been amalgamated. The deities worshipped or revered at the Sajik shrine were Earth-god (Sa) and crop-god(Jik). And it is the Earth god and the concrete entity, Sajik tree, that contains the legacy of sylvan religion descended from the ancient times and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Confucian faith and ritual regime. Korean red pine as the Royal-Sajik tree played a critical role of sustaining the religio-political justification for the rule of the Joseon's Royalty. The religio-political symbolism of Korean red pine was represented in diverse ways. The same pine was used as the timber material of shrine buildings established for the national rituals under Neo-Confucian faith by the royal court of Joseon kingdom before the modern Korea. The symbolic role of pine had also been expressed in the forms of royal tomb forests, the Imposition Forest (Bongsan) for royal coffin timber (Whangjangmok), and the creation, protection, conservation and bureaucratic management of the pine forests in the Inner-four and Outer-four mountains for the capital fortress at Seoul, where the king and his family inhabit. The religio-political management system of pine forests parallels well with the kingdom's economic forest management system, called ‘Pine Policy’, with an array of pine cultivation forests and Prohibition Forests (Geumsan) in the earlier period, and that of Imposition Forests in the later period. The royal pine culture with the economic forest management system had influenced on the public consciousness and the common people seem to have coined Malrimgat, a pure Korean word that is interchangeable with the Chinese-character words of prohibition-cultivation land or forest (禁養地, 禁養林) practiced in the royal tomb forests, and Prohibition and Imposition Forests, which contained prohibition landmarks (Geumpyo) made of stone and rock on the boundaries. A culturo-social forestry, in which Sajik altar, royal tomb forests, Whangjang pine Prohibition and Imposition forests and the capital Inner-four and Outer-four mountain forests consist, was being put into practice in Joseon. In Joseon dynastry, the Neo-Confucian faith and royal rituals with geomancy, folk religion, and Buddhism incorporated has also played a critical humanistic role for the culturo-social pine forestry, the one higher in values than that of the economic pine forestry. The implications have been extracted from the historical case study on the Royal-Sajik tree and culturo-social forestry of Joseon : Cultural sustainability,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 maintains a long-term culturo-natural equilibrium or balance for many generations, emphasizes the importance that the modern humans who form and conserve environment need to rediscover and transform their culturo-natural legacy into conservation for many generations and produce knowledge of sustainability science, the transdisciplinary knowledg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s, which fulfills the cultural, social and spiritual ne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림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