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파트 단지와 ‘공동체’에 관한 세 가지 사유: 공동성, 면역성, 그리고 집합체 (Three Thoughts for Apartment Complexes and “Community”: Commonness, Immunitas, and Collectiv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4.09
26P 미리보기
아파트 단지와 ‘공동체’에 관한 세 가지 사유: 공동성, 면역성, 그리고 집합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경국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 8호 / 91 ~ 116페이지
    · 저자명 : 정헌목

    초록

    이 글은 아파트 단지의 공간성을 배경으로 구축되는 ‘공동체’의 양상에 주목하여, 여기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집단성을 사유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안하는 시론적 논의이다.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 자리 잡은 아파트 단지의 물리적ㆍ상징적 공간성은 나름의 ‘공동체’ 활동을 함양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주변 지역으로부터 물리적으로 차별화된 공간의 형성은 아파트 단지 내에 고유한 장소성을 형성하는 한편, 입주민들에게 일종의 공동체 의식을 배태하는 조건이 된다. 이를 위해 우선 아파트 단지의 집단성을 분석한 기존 연구 성과의 이론적 전제들을 검토한다. 각각 ‘공동체’와 ‘면역체’라는 다른 방향의 접근법을 통해 분석한 이들 논의를 고찰하며 그 의의를 진단한다.
    이렇게 살펴본 두 가지 방식의 기존 논의가 다분히 ‘사회적인’ 측면에 집중하여 아파트 단지의 집단성을 분석한 작업이라면, 여기서는 더 나아가 아파트 단지의 물질적인 공간성에 주목한 접근을 검토한다. 이 글은 혼종적 공간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물질적 구성의 관점을 적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집단성을 사유할 수 있는 개념으로 ‘집합체’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성격상 각종 물리적 요소와의 관계를 무시하기 힘든 아파트 단지에서의 혼종적 집단성을 사유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discussion that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community” is constructe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patiality of apartment complexes, and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new forms of collectivity that emerge here. The physical and symbolic spatiality of apartment complexe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since the 2000s, functions as a condition that fosters its own “community” activities. The formation of a space that is physically distinct from the surrounding area creates a unique placenes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nd is a condition for the residents to develop a sense of community. To this end, this paper explores the theoretical premises of existing research analyzing collectivity in apartment complexes. It then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se discussions, which are analyzed through different approaches of “community” and “immunitas”, respectively.
    While both of these approaches focus on the “social” aspect of collectivity in apartment complexes, this article proposes an approach that goes further and focuses on the material spatiality of apartment complexes. Based on the discussion of hybrid spatiality, this article proposes “collective” as a concept for analyzing collectivity in apartment complexes by applying a socio-material construction perspective. In doing so, i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hybrid collectivity in apartment complexes, where the nature of the space makes it difficult to ignore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physical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