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苟安室新稿』 硏究 (A Study on 『Guansilsing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苟安室新稿』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3권 / 27 ~ 52페이지
    · 저자명 : 김진욱

    초록

    苟安室은 백운산 서북쪽 구례군 간전면 수평리 만수동에 있었던 매천의 강학소이다. 매천은 여기에서 1886년부터 1902년까지 17년간 생활하면서 많은 제자를 양성하고, 숱한 시를 지었으며, 『東匪紀略』을 저술하였다. 그러므로 구안실은 매천 학문과 정신의 토양이 된 곳이라 할 수 있다.
    『苟安室新稿』는 최승효가 소장했던 친필본 서책인데 현재 순천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苟安室新稿』는 가로 18.1㎝, 세로 21.7㎝ 규격의 54쪽으로 된 서책이다. 『苟安室新稿』에 대한 학계 소개는 2005년 김정환이 『漢文學報』 제12집에 「梅泉 黃玹의 『苟安室新稿』 硏究」라는 논문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김정한은 이 논문에서 『苟安室新稿』의 저자가 매천 황현이라는 주장과 『苟安室新稿』의 작품 분석을 통하여 ‘평온한 자연의 형상화’와 ‘소박한 일상 표현’이 돋보인다고 하였다.
    매천의 작품집으로 추정되는 『苟安室新稿』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지 못함으로써 매천 문학의 전모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출발선이다. 『苟安室新稿』의 집필 시기는 기록에 따라 1896년 3월 13일부터이다. 『苟安室新稿』는 1896년 3월 13일 이전에 쓴 시를 모은 것으로 추정하는데, 왜?, 그리고 어떤 기준에 따라 『苟安室新稿』를 편찬하였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누가, 어떠한 이유로 『苟安室新稿』를 편찬하였는지를 추정해 보았다. 또한 후속 연구의 출발선을 만든다는 의미로 『苟安室新稿』에 수록된 시의 형식에 대한 특성과 시적 미감에 대한 풍격을 논하였다.
    『苟安室新稿』에는 185수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고시에 비하여 근체시가 압도적으로 많고, 칠언보다 오언이 많다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매천이 가장 즐겨 사용하였던 칠언 율시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苟安室新稿』에 수록된 작품들의 표현적 특성으로 寫實性을 제시하였다. 매천시의 특성 중 하나이기도 한 세밀한 사실적 묘사를 통한 시화가 『苟安室新稿』의 작품들에서도 여전히 돋보인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苟安室新稿』의 시세계가 淸新警拔하다는 사실을 작품 분석을 통하여 논의하였다. 이 부분에 대한 논의는 후일 보다 정치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Guansil is Macheon's classroom in Mansu-dong, Supyeong-ri, Ganjeon-myeon, Gurye-gun in the northwestern of Mt. Baekwun. Macheon produced many pupils, created a lot of poems and wrote 『Dongbigiryak』 while living here for 17 years from 1886 to 1902. Therefore, Guansil can be referred to as the foundation of Macheon's academic and spiritual achievement.


    『Guansilsingo』, an original handwriting book that had been possessed by Choi Seung-hyo, is currently owned b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Museum. 『Guansilsingo』, a book consisting of 54 pages with a size of 18.1㎝ wide and 21. 7㎝ long, was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through a paper titled 「A Study on Maecheon Hwanghyeon's 『Guansilsingo』」 by Kim Jeong-hwan published in Volume No. 12 of 『Hanmunhakbo』 in 2005. In the study, Kim Jeong-hwan claimed that Maecheon Hwanghyeon is the author of 『Guansilsingo』 and 'formation of peaceful nature' and 'expression of simple daily life' are outstanding in the work.


    The beginning point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there are difficulties analyzing the whole picture of Maecheon's literature because there haven't been follow-up studies to 『Guansilsingo』 that is assumed to be Maecheon's book. According to a record, 『Guansilsingo』 was written from March 13, 1896. Therefore, it contained poems written before March 13, 1896, but why the book was published and what are criteria to collect poems are not clear. The current study presumed who and why published 『Guansilsingo』.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d characteristics of forms and poetic aesthetics of poems contained in 『Guansilsingo』 in a view of creating the start point of follow-up studies.


    A total of 185 poems are contained 『Guansilsingo』, among them, Geumche poems are overwhelmingly more than Go poems, and Chileon is more than Oeon. In particular, it is impressive than Chileon Yulsi poems that were enjoyed by Maecheon are relatively less in the book.


    The current study suggested reality as an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poems published in 『Guansilsingo』. Also the study mentioned that a poem and a picture through detailed and realistic description, one of characteristic of Maecheon's poems, are still outstanding in works published in 『Guansilsingo』.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d that the poetic world of 『Guansilsingo』 is Cheongjingyeongbal through analyzing the works. This aspect should be discussed more delicatel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