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 개념과 근대 한국: 개념의 역수입, 활용, 해체, 그리고 포섭과 저항 (The Concept of Empire and the Modern Korea: The Reimport, Use and Disintegration of the Concept, and Its Eventual Fate of Subsumption and Resistance)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1.05
48P 미리보기
‘제국’ 개념과 근대 한국: 개념의 역수입, 활용, 해체, 그리고 포섭과 저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17권 / 1호 / 59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삼성

    초록

    고대의 한국인들이 6세기와 9세기에 ‘제국’의 개념을 동양의 정치적 개념 세계에 처음 끌어들였음을 보이는 기록들이 있다. 이후 9백 년간 한국에서도 제국 개념은 침묵을 지킨다. 한국인들은 1876년 일본 군함과의 조우를 통해서 근대적 번역어로서의 ‘제국’ 개념을 마주하게 된다. 제국 개념의 역수입이었다. 근대 한국에서 ‘제국’이 중요한 정치 개념으로 등장하는 계기는 1897년 ‘대한제국’ 선포였다.
    당시 지배자들은 한국이 과연 ‘제국’을 칭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와 씨름했다. ‘제국’을 어떻게 개념 정의하느냐가 중요했다. 그러한 개념적 문제는 탈속방 국면의 조선이 처한 ‘비자립적 자주국’으로서의 고뇌였으며, 구체적으로는 ‘건원’과 ‘칭제’ 사이의 거리라는 문제로 연결되었다. 칭제를 정당화하는 주장이 대세를 이루었지만, 그에 대립하는 논리도 제기되었다.
    1850년대 중엽 일본의 막부정권이 외세의 압박에 직면하여 ‘자주독립한 국가 정체성’의 표지로 ‘일본제국’의 개념을 채택한 것처럼, 19세기 말 격심한 외세 압박을 경험한 한국의 국가 역시 ‘자주권’을 명분으로 칭제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했던 것이다. 칭제를 옹호하는 담론도 비판하는 담론도 전통적인 유교적 명분론에 바탕을 두었다. 이 무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제국 개념은 광역적 지배국가의 의미로 개념 확장이 전개되지만, 한국에서의 제국 개념은 ‘황제의 나라’로서의 자주권을 주장하고 또한 황제의 전제권을 개념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머물러 있게 된다.
    한국에서 ‘제국’ 개념은 근대 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국가권력의 주도하에 전개되었으나, 1905년 제국-보호령 체제에 한국이 편입되면서, 한국에서의 제국 개념도 해체 위기에 직면한다. 이제 ‘제국’은 점차 ‘일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된다. 한국이 역수입했던 제국 개념은 일본에 회수되고, 한국이라는 정치 공간 안에서도 ‘일본제국’이라는 고유명사와 ‘제국’이라는 보통명사 사이의 경계는 허물어진다. 중국에 속했던 한반도의 정치 공간이 일본 중심의 지역 질서 속에 편입되고 있었음을 뜻했다. 이후 한국의 ‘제국’ 담론은 두 가지 흐름으로 분열된다. 한편으로는 일본의 ‘대제국’론에 포섭된 ‘하나의 큰 제국’론이 등장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현실의 제국 권력에 저항하는 수단으로서의 역사 속의 ‘제국’을 불러내는 작업이었다.

    영어초록

    We have a few ancient documents that show the initial introduction by ancient Koreans of the word “empire” into the conceptual world of East Asia. The concept, however, kept silence in Korea for about nine centuries. The Koreans faced again the concept as a modern translation by the Japanese of the Western terminology in 1876,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a Japanese battleship whose captain proclaimed it belonged to the “Japanese Empire.” We may call it a reimportation of the old concept with some added new meanings. The moment by which the concept emerged as one of the key political words in modern Korea came when the Chosun government decided to take the honorable title of Emperor for the king. The rulers of Korea had to agonize, however, ov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are, in the new international order, allowed to adopt the title of Empire for their state. The majority appears to have supported the new imperial title, while some dismissed it as a misrepresentation in both priniciple and reality.
    The late Chosun took the concept of Empire as a conceptual means to represent the new identity of the Korean state as an independent and respectable country, just as the Japanese rulers of the 1850s adopted and relied on the concept of Empire to project the image of independence for their nation struggling with the pressure from the Western imperial powers, in particular. Most discourses in Korea on Empire, both for and against the adoption of the Imperial title, were based on traditional moralistic ideas associated strongly with Confucianism and deeply rooted in the China-centered world view. Since then on, the concept of Empire is mobilized as a conceptual tool of justifying the right of the Korean state to self-determination as well as the absolutist rule by the Emperor, while, in Japan, the same concept experiences semantic expansion, embracing genuine imperialist rise of the nation.
    The concept of Empire in Korea was driven into the fore by the state power just like it was the case in Japan. With the integration of Korea into the orbit of the Japanese imperial control in 1905, however, the concept in Korea faces a crisis of disintegration. The concept, a reimportation from Japan, is now retrieved by Japan, and the conceptual borderline begins to be erased between the phrase of the ‘Japanese Empire’ as a particular noun and the word of ‘Empire’ as an universal name. It meant the political space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d once been a part of the Chinese world order, was now being incorporated into a new Japan-centerd regional order. From then on, the Korean discourse on Empire walks two different paths. On the one hand, it is subsumed into the Japanese concept of the “Great Empire,” in which the Korean identity should be suspended only to re-emerge as a part of a greater empire. On the other, some Korean intellectuals invoke the history of empire from the remote past, in their attempt to resist the real empire of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치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