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자유주의와 탈학교 사회 그리고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 (Neo-Liberalism, Deschooling Society and the Education of Korean Feminist all the world-reviving Spirituali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9.02
31P 미리보기
신자유주의와 탈학교 사회 그리고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4호 / 81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선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의 생태계 위기와 신자유주의 경제난국의 상황을 맞이하여 어떻게 하면 우리 교육의 변혁을 통해서 새로운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까를 탐색한다. 이 일에 있어서 이미 40여 년 전에 서구 자본주의 사회의 무한정한 성장을 향한 인간욕망의 위험성을 목도하고 “성장을 멈추라”고 하면서 “탈학교사회”를 제안한 이반 일리치의 사상을 중요하게 다룰 것이다. 그는 오늘날 우리 모두의 삶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농업, 의료, 수송, 교육, 페미니즘의 문제를 지구와 인간의 자연적 한계성에 맞추어서 다시 사고할 것을 촉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리치의 사고에 근본적으로 동의하면서 그러나 거기서 더 나아가서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을 제안하는데, 그것은 특히 한국 유교 전통의 여성들이 가꾸어온 살림의 영성과 유교적 초월성을 귀한 것으로 여긴다. 그러면서 오늘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 파탄과 거기서의 하수인 역할을 하는 무한경쟁주의와 교육공리주의의 교육에 맞서서 다시 교육에 있어서 종교적이고 초월적인 근거를 회복하고 일상의 삶과 여성주의적 가치, 공적 감각의 교육으로 탈바꿈할 것을 촉구한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to find out how we can overcome our overly competition ridden educational trend of today and its materialistic character. It perceives one main cause of current economic turmoil of Korea in our educational praxis. Namely, since Korean people have spent too much money in educating their children, the other parts of Korean economy are suffocated. In this stream, education became more and more expensive, and the boom in private education grew extraordinary.
    In this situation, we recognize the good message of Ivan Illich's deschooling society and stopping the economic growth. Although he suggested that idea almost 40years ago, we acknowledge that our present-day situation of education and socio-political economy demands urgently similar changes in their flow. Ivan Illich designated so well the deep relatedness between our industrial consumer-society and education, and he suggested as a fundamental way of overcoming the vice of modern industrialism the deinstitutionalizing of our learning and education.
    I, myself, as a Korean feminist educational thinker, like to propose my own idea of the education of the all the world-reviving spirituality(天地生物之道/理) which has three emphasizing points as following:
    1. We have to recognize our own interior spiritual power as a transcendental basis of our education. It is our conviction that when we begin our educational efforts from this innate basis, we will not lose ourselves in wandering to accumulate outer informations and outer institutional authorities of education.
    2. The second point is to actualize in our educational praxis communal power and women's ordinary life's knowledge and wisdom. Pestalozzi's meaningful phrase "das Leben bildet" can be a good maxim for the education of deschooling society. We are persuaded that traditional Korean women's spirituality of mothering for the whole world can be a excellent example of the all the world-reviving spirituality. We hope that it will help to emancipate our education from exceedingly institutionalized mode of learning and utilitarianism.
    3. The third point is education as l'Amor mundi. We realize well that in our modern bourgeois society education became totally reduced to the matter of individual psychology and lost its public dimensions. As Illich has already prophetically criticized, education became a mighty tool of modern consumerism, and through it, it plays a big part of modern ecological crisis. So we strive to resurrect the public and universum-caring aspect of education with the idea of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and Hannah Arendt's idea of education as l'amor mund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