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인 윤동주의 이동하는 신체와 언어적 실천, 그리고 ‘디아스포라’라는 방법론 (Yoon Dongju’s Travelling Bodies and Linguistic Action, and the Diaspora Methodolog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02
33P 미리보기
시인 윤동주의 이동하는 신체와 언어적 실천, 그리고 ‘디아스포라’라는 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76호 / 209 ~ 241페이지
    · 저자명 : 김성연

    초록

    이 글은 윤동주에 관한 최근 주목할만한 연구 성과인 디아스포라적 개념의 접근법에 주목하고 그 성취와 흐름을 검토해보았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은 고정된 지역을 초월하는 이동성과 혼종성에 주목하여 비단 한 시인뿐 아니라 식민과 분단 역사를 지닌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성과를 내었다. 하지만 이론과 해석과 실천의 낙차로 인해 특정한 현실 장소와 그곳의 집단적 정체성에 기반해 사유되는 한계를 빚어, 식민지 시기 금지된 언어로 시를 쓰며 장소를 횡단했던 한 시인의 여정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를 빚는다. 이 글은 ‘국경에 놓인 나침반과 반딧불의 춤’을 1917-1945년 사이 ‘용정(만주)-평양-경성-토쿄-쿄토’로 학교를 따라 움직인 학생 시인 윤동주의 실천성에 대한 은유로 사용했다. 윤동주에게 ‘디아스포라’적 이동성은 자본이나 정치적 목적이 아닌, 학생 시인으로서 지적이고 시적인 정신적 유목의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런 그의 시에서 ‘빛’과 ‘고향’은 그 방향성과 지향성을 상징한다. 그는 사회적 강압과 시공간의 제약 속에서 개인은, 예술가는, 청년은 어떻게 정신적 자유를 지키고 미적 도전과 도정의 길을 걸을 수 있는가를 보여준 것이다. 떠난 자, 정착하지 아니한 자, 타협하지 아니한 자, 하여 귀환과 구원이 알레고리로 남게 된 자, 학생 시인 윤동주의 디아스포라적 삶은 시련의 시기에 시를 쓴다는 것이 어떤 구원의 길이었는지를 다시 묻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iasporic approach taken by recent noteworthy studies of the poet Yoon Dongju and considers the trends and achievements of such analyses. Such a methodology focuses on mobility and hybridity that transcend fixed geographies to succeed in expanding the scope of studies about not only a single poet but also Korean literature with its history of colonialism and division. However, in practice, the methodology ties the subject to a place and its collective identity. It inhibits a fuller understanding of a poet who traversed multiple countries, writing in a language that was bann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Compass on the Border and a Firefly’s Dance’ serves as a metaphor for Yoon Dongju’s activism/social engagement following his movement from Yongjeong, Manchuria to Pyeongyang to Gyeongseong to Tokyo to Kyoto during his school years (1917-1945). Diasporic mobility for Yoon took the form of intellectual, poetic, and spiritual nomadism since he was travelling as a student poet rather than for capitalistic or political purposes.
    As such, “light” and “homeland” in the poem represent directionality and orientation. Yoon demonstrated how to maintain one’s mental freedom, rise to aesthetic challenges, and stay the course as an individual-artist-young man under the constraints of social pressure as well as time and space. As one who left and did not settle down or compromise, the student poet Yoon remains an allegory for repatriation and salvation. Thus his diaspora life once again raises the question: Toward what kind of salvation did writing poetry in troubling times le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