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마천의 사상, 그리고 『사기』, 「팔서」의 대의와 가·위탁(加·僞託) 논란 (A Study on the Ideology of Samacheon and the Controversy over Saggi “Palseo’s” alteration and forge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06
30P 미리보기
사마천의 사상, 그리고 『사기』, 「팔서」의 대의와 가·위탁(加·僞託) 논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융합 / 6호 / 31 ~ 60페이지
    · 저자명 : 송기섭

    초록

    사마천은 전한시대 효무제 때 아버지 사마담에 이어 태사령의 관직에 있었다.
    그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역사를 기술하면서 자신의 독자적인 방식으로 편제했는데, 이것이 『사기』이다. 그는 종래 사건 중심으로 기술했던 방식을 인물 중심으로 기술하는 새로운 역사의 서술방식을 창안하고, 「본기(本紀」 12편, 「표(表)」 10편, 「서(書)」 8편, 「세가(世家)」 30편, 「열전(列傳)」 70편, 총 130편의 중국역사의 기록을 남겼다.
    사마천의 이러한 술사(述史)방식은 사상적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그의 사상은학자들 간에 다수는 유가자(儒家者), 소수는 도가자(道家者)로 여기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여러가지 정황으로 보았을 때, 6가 중 특정한 한 학설에만 경도되어 있지 않았다. 만약 한 학설에만 경도되어 있었다면 이를 술작(述作)하는데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특히 「팔서(八書)」는 제도와 문·물을 다룬 것으로써여러 학설을 수용, 또는 융합해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이를 편제할 수 없다는 생각에 도달했다.
    그런데 「태사공자서」에서 ‘선고 사마담은 사마천에게 학문적으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해서 여러 학설을 두루 섭렵하는 학문체계를 갖추도록 배려했다. 사마천역시 아버지의 바람에 따라 종합적 학문체계을 갖추어야 한다’는 의중을 보이고있음에, 이를 토대로 심고(審考)해보니 유가자도, 도가자도 아닌 6가를 아우르는종합적 사고의 철학사상가였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기』는 사마천의이러한 사상에서 나온 결과물이라고 귀결지어도 이 틀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아니리라.
    또 하나는 「팔서(八書)」에 대한 가·위탁(加託)의 논란이다. 후한(後漢) 말 학자 장안(張晏)이 그의 책 『한서주(漢書注)』에서 「팔서」 중 「예서」, 「악서」, 「율서」의가탁문제를 거론한 이후, 청대(淸代)에 들어와 많은 학자들로부터 가탁이냐, 위탁(僞託)이냐, 또 소부분 가탁이냐, 대부분 가탁이냐를 가지고 활발한 논란이 있었다.
    이러한 논란에서 방포, 왕명성, 왕원계, 양옥승 등의 주장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으로 의미 있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즉 소부분 가탁이냐, 대부분 가탁이냐 하는 차이와 그들이 분석한 내용에서 수긍할 수 없는 부분이 다소보이긴 했지만 후인이 가탁한 흔적이나 연문(衍文), 결문결자(缺文缺字) 등을 찾아 꼼꼼히 분석하고 이를 기록해 놓아 대체로 공감할 수 있었다.
    최적의 위탁문제에 있어서는 이를 받아들이는 데 매우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왜냐하면 “『사기』의 「팔서」는 모두 안정(贋鼎)이고 율서 이하는 다 위탁이다.”라고 하고, 율서 이하는 『한서』의 「십지」에 있는 것을 가져가 위탁한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사마천의 위상과 『사기』 「팔서」의 존립에 대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그는 여기에서 ‘왜 이것이 위탁인가’에 그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했어야 하지만 그러지 못했다. 이런 까닭에 「팔서」의 위탁에 대한 주장이설득력이 떨어진다. 앞으로 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Samachon was taesaryung after his father Samadam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yomu. He wrote the book in his own way, writing history according to his father’s wishes. This is the “Saggi”. He created a new style of historical stories centered on characters, not on previous methods. As a result, a total of 130 Chinese history records, ‘Dongi’ 12 ‘pyo’, 10 ‘Seo’, 8 ‘Sega’, 30 ‘Yeoljeon’, 70 columns, and 130 total.
    It is believed that Samacheon’s history began with an ideological background. Scholars tend to view his ideology as Confucianism for many and Taoism for a few. But However, under various circumstances, only one of the six theories was not considered. If only one theory had been revered, there would have been a limit to writing “Saggi”. In particular, he came to the idea that Saggi’s ‘palseo’ could not be built because of its special nature of accepting or incorporating various theories.
    In ‘Taesagongjaseo’, his father Samadam helped Samacheon make up for his academic deficiencies. ‘Taesagongjaseo’ said that his father Samadam helped make up for Samacheon’s academic shortage. Therefore, Samacheon was able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that was able to learn various theories. Based on this, it was can recognized that he was a philosophy thinker of comprehensive thinking, not Confucianism or Taoism. Therefore, even if “Saggi” is the result of these ideas of Samacheon, it will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is framework.
    Another is the controversy over tampering and forgery with ‘Palseo’.
    After Jiang An mentioned the problems of ‘Yeseo,’ ‘Akseo’, and ‘Yulseo’ in “Hanseoju,” controversy over tampering and forgery arose among many scholars during the Qing Dynasty.
    In this controversy, Bang-po, Wang Myung-sung, Wang Won-gye and Yang Ok-seung’s arguments are relatively concrete and logical and have significant persuasion. In other words, there are differences in claims of small modulation or most modulation, and some are somewhat unlikable. However, it was generally sympathetic to find missing sentences, traces of modulation, useless sentences, and missing characters, and to analyze them closely and record them.
    As for Choijeok’s forgery, I felt that it was necessary to judge it very carefully to accept it. Because “Saggi”’s ‘Falseo’ was all tampered with, and all under ‘Yulseo’ are counterfeit He also claimed that from Yulseo to Pyeongjunseo, it was a theft of Hanseo’s ‘Sipji’. However, I should have provided a clear basis for why this was a forgery, but I couldn’t.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sympathize with the allegations of counterfeiting. We need to study this strictly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