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둠살이의 진화: ‘마을’, ‘공동체’, 그리고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Human Communal Life: Focusing on Village,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6
43P 미리보기
모둠살이의 진화: ‘마을’, ‘공동체’, 그리고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촌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촌사회 / 25권 / 1호 / 127 ~ 169페이지
    · 저자명 : 김기홍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추세에 맞춰, 그 중심적 개념을 진화적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라는 인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모둠살이 공간을 지나치게 단순화해 이해한 결과다. 사실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는 모둠살이 공간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위이지만, 그 맥락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 차이는 바로 진화적 관점을 접목시킬 때 더욱 분명해진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진화적 관점을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나누고, 여기에 모둠살이의 본질을 통합하는 시도를 했다. 모둠살이의 시간성은 전근대·근대·탈근대로 구분된다. 또, 공간성은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로 분류된다. 아울러 모둠살이의 본질은 개체 단위에서의 자발성, 체계 수준에서의 자족성, 복잡계에서의 지속성으로 나뉜다. 그 결과 모둠살이의 기초로서 ‘마을’은 전근대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그 본질은 제한적(restrictive) 자발성·자족성·지속성으로 특징지어 진다. 또 모둠살이의 규모가 확대된 형태로서 ‘공동체’는 근대사회에서 본격적으로 대두되는데, 그 본질은 확장적(extensive) 자발성·자족성·지속성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야 하는 21세기의 모둠살이로서 ‘마을공동체’의 본질은 대안적(alternative) 자발성·자족성·지속성으로 요약된다. 결론적으로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로 등치된 인류의 모둠살이는 ‘마을⇒공동체⇒마을공동체’로 재구성할 때 그 관계가 한층 명확해지고 풍부한 논의가 가능해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 to understand how or why the central concepts of village and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are currently highly escalating in public interest. There is an acknowledgement that village and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are used interchangeably to equal one another in the existing discussions. However, this inaccurate perspective results in excessively simplifying the meaning of communal life. In fact, although these all are representative units of communal life,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among village and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The differences get more obvious when combined with evolutionary viewpoints especially because this study divides the evolutionary view points by temporality and spatiality and tries to integrate the essences of communal life into these two axes. Here temporality is classified as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and spatiality is categorized as village, community, and village community. In addition, the essences of communal life are labeled as the spontaneity of individual level, the self-sufficiency of system level, and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ity level. As a result, in pre-modern society, the village, as the basis of communal life, is a generalized type, and thus, essences are characterized by restrictive spontaneity, self-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However, in modern society, the community, as the extension of communal life, is much more evident, and essences are now regarded as extensive spontaneity, self-sufficiency, and sustainability. Furthermore, in the post-modern 21st Century, the village community, as a new possibility of communal life, is more common and essences are summarized into alternative spontaneity, self-sufficiency, and sustain -ability. In conclusion, when spaces of communal life equalized by ‘village= community=village community’ are reconstituted by ‘village⇒ community⇒ village community’, the discussions of communal life can be much more productive and cre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촌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