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말봉의 대중소설 『찔레꽃』의 사상 —휘트먼과 아리시마 다케오, 그리고 아나키즘 (The Thoughts of Kim Mal-Bong’s Popular Novel Jjillekkot(찔레꽃 The Brier Flower) —Walt Whitman, Arishima Takeo, and Anarch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김말봉의 대중소설 『찔레꽃』의 사상 —휘트먼과 아리시마 다케오, 그리고 아나키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51호 / 170 ~ 198페이지
    · 저자명 : 서정자

    초록

    작가는 오랜 시간 ‘찔레꽃’을 인간의 행복에 비유하여 사유해온 듯하며 그렇기에 소설 『밀림』에서도 『찔레꽃』에도 「찔레꽃」 노래가 등장하며 작가의 말에서도 “사람은 모든 대가(對價)를 다 밧첫슴에도 불구하고 손에 쥔 것은 왕왕이 쓸쓸한뷘 가지뿐일 때가 많음에랴! 참으로 꺽기 어려운 찔레꼿!”이라 하였다. 『찔레꽃』 의 주인공 안정순은 가시에 찔리면서도 모성의 전형처럼 주어진 길을 걸어간다.
    작가는 자신의 개신교 신앙을 넘어 가톨릭의 성모상을 등장시키고 주인공 안정순을 이 성모상과 함께 찔레꽃의 상징으로 그렸다. 성모와 안정순은 모성의 전형이면서도 가시 돋친 빈 가지의 슬픔을 감내하는 존재들이다. 어렵게 피어난 꽃은 어느새 하르르 지고 안정순을 향하여 사랑하고 오해하며 멸시하고 짓밟던 사람의 부끄러운 얼굴들이 정순의 모성에 기대어 있다. 작가는 안정순의 가시밭길만을 그리고 있지 않다. 휘트먼이 선과 악, 남자와 여자, 백인과 흑인, 부자와 빈민 등 분리 대립된 가치와 제도로 인한 차별과 핍박을 모두 긍정하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듯이 소설에서 제도에 의해 분리되고 억압받는 각양각색의 인물들은 휘트먼의 사상을 드러내는 역할을 맡아 찔레꽃의 상징에 응한다. 작가는 대중소설에 사상성을 전면에 내세우기보다 다양한 인물에 잠입시켜 흥미를 유지하면서 사상성을 성공적으로 담아냈다. 강원도에 농업공동체를 구상하고 실천해 나아가려는 경구의 기획을 중심으로 적서차별 철폐와 농촌공동체의 재건, 빈부격차의 해소, 죽음의 묘사에서 종교의식의 합일 등을 보여주고 가부장주의와 남성우월주의를 비판하면서 남녀평등을 웅변으로 부르짖기도 하였다. 본고는 휘트먼의 혁신적사상을 받아들인 아리시마 다케오의 사상적 역정이 김말봉의 휘트먼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휘트먼의 사상과 함께 참고하여 『찔레꽃』의 사상을 규명해보았다. 찔레꽃의 사상을 육화해 보여준 존재 안정순은 작가의 삶에 대한 비극적 인식을 나타내며 동시에 성모마리아 이미지로 그린 찔레꽃이다. 신 구교의 경계를 넘어 찔레꽃을 삶의 상징으로 제시한 작가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은 돈과 사랑을 좇는 꽃들이 모두 진 빈 가지의 성모 이미지 또는 모성이야말로 우리 삶의 구원이라는 사상이다.

    영어초록

    Kim Mal-Bong has long used “Jjillekkot” as a metaphor for human happiness. The song 〈Jjillekkot〉 appear in novels 『Millim(Jungle)』 and 『Jjillekkot(The Brier Flower)』. “People pay all the price, but what they hold in their hands is often a lonely empty branch, Jjillekkot, really hard to get! ” Kim said. An Jung-Soon, the heroine of Jjillekkot, walks the path of motherhood through all kinds of difficulties. Even though Kim was a Protestant believer, she used the Catholic Virgin image, and portrayed the main character Ahn Jung-soon as the Virgin Mary and a Jjillekkot. The Virgin Mary and An Jung-Soon are the epitome of motherhood, yet endure sadness.
    People who misunderstand, despise and trample An Jung-Soon rely on her motherhood. Kim doesn’t just describe An Jung-Soon’s difficulties. Whitman affirmed and accepted discrimination due to conflicting values and institutions: good and evil, men and women, white and black, rich and poor. In Kim’s novels, characters separated and oppressed by social regulation reveal Whitman’s ideas, which are also symbols of Jjillekkot. Kim did not bring ideology to the fore in popular novels, but showed them through various characters. For example, Kyung-goo conceived of an agricultural community in Gangwon- do, showing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legitimate sons and bastard sons, reconstruction of rural communities, resolv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unity of religious consciousness. And with his voice, the writer criticized patriarchalism and male supremacy.
    I thought that Walt Whitman’s innovative ideas and Arishima Takeo’s ide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im. Based on Whitman’s ideas, I investigated the ideas of Jjillekkot. Ahn Jung-soon is a person who specifically showed Jjillekkot’s thoughts. Ahn is Jjillekkot, depicted as the Virgin Mary, which represents Kim’s tragic perception of life. Kim showed Jjillekkot as a symbol of life. Even if the flowers fall off and become empty branches, the wounded flowers become the salvation of life like the Virgin Mary or motherh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