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권선언’의 기원과 이후: 옐리네크, 베버, 그리고 뒤르케임에 이어 (On and After The Declaration of Human Rights: Drawing on Jellinek, Weber, and Durkhei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11
30P 미리보기
‘인권선언’의 기원과 이후: 옐리네크, 베버, 그리고 뒤르케임에 이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이론 / 48호 / 3 ~ 32페이지
    · 저자명 : 박영신

    초록

    사람의 권리 주장은 세기를 거듭하면서 일반 대중은 물론 학문종사자들의 관심을 끌어왔고, 그것은 세계 모든 곳에서 법률이정하는 권리 조항이 되어 공식으로 인정되고 보호되고 있다. 이글은 인권이 법으로 제도화되어온 역사의 과정을 둘러싼 논쟁을 다시 따져보고 사회학 사상의 몇 가지 측면을 다시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옐리네크가 발표한 “인권과 시민권 선언”(1895)으로 돌아간다. 인권을 보편의 법으로 보호하게 된 것은 계몽주의에서 비롯된다고 하는 것이 널리 상식으로받아들여지고 있음에도 그는 인권의 법제화는 종교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어, 이 글은 그에게 영향을 받은 베버의 거대한 비교 문명 사회학의 생각을 살피고, 인간의 존엄성을둘러싼 논쟁을 불러일으킨 저 드레퓌스 사건에 깊이 관여한 뒤르케임의 생각을 새겨 본다. 위의 논의에 터하여, 나는 짧게나마 우리 사회의 인권 역사와 그 상황을 알아본 다음, 인권의 근본 원리와 가치가 집합 운동에 의하여 끊임없이 활력을 얻지 못한 채 입법 장치만으로 인권을 보장하겠다고 하는 것은 헛된 염불이 되고 만다는 말로 이 글을 매듭짓는다.

    영어초록

    The doctrine of human rights has always fascinated academic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for centuries, and it has been officially recognized and protected as legal rights all over the world. This paper revisits the debates concerning the legal construction of human rights and its history, and rethinks some aspects of sociological thought. Despite the generally accepted notion that the Enlightenment is the wellspring of the universal legal protection of human rights, I argue that, going back to Georg Jellinek’s publication of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of Citizens (1895), human rights formulations have a religious origin. I look at the way Jellinek provoked and influenced the thinking of Max Weber, who left grand comparative civilizational studies. I then move on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Emile Durkheim’s engagement in the Dreyfus Affairs which evolved around the issues of individual human dignity.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I briefly review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human rights in Korea, and conclude that writing and passing legislation to protect human rights will be like tilting at windmills unless their fundamental principles and values are constantly enlivened by collective a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