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원과 여신, 그리고 왕국: 카트만두의 닥신칼리 사원을 중심으로 (Temple, Goddess, and Kingdom: Dakshinkali Temple at Kathmandu, Nepal)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4
29P 미리보기
사원과 여신, 그리고 왕국: 카트만두의 닥신칼리 사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형유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무형유산학 / 6권 / 1호 / 113 ~ 141페이지
    · 저자명 : 박정석

    초록

    본 연구는 카트만두의 닥신칼리 사원을 중심으로 사원과 여신, 그리고 왕국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닥신칼리 사원은 카트만두 남쪽 20㎞ 지점에 있다. 사원 건립과 관계된 신화는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카트만두 왕국의 왕이었던 프라타파 말라의 꿈에 여신이 나타나 자신을 위한 사원을 건립하라고 선몽하였다. 사원을 건립하면 왕과 왕국이 번영할 것이며 역병이 돌지 않을 것이라 했다. 왕은 옛 사원이 있었던 터전 위에 지금의 닥신칼리 사원을 세웠다. 사원의 주 신상은 검은 외양에 여섯 개의 팔을 가진 닥신칼리 여신이다. 네팔의 전통 관념에 따르면, 왕의 영지와 신들의 영역은 그 경계와 정점이 다르다. 왕의 영지는 세금징수로 경계가 설정되며, 왕은 징수권 확대 혹은 계약을 통해 영향력을 발휘한다. 하지만 영역에서 정점은 왕이 아니다. 영역의 정점은 왕이 숭배하는 수호신이다. 영역의 의례적 경계는 특정한 장소로 표시된다. 영토의 경계는 의례적 경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영역의 의례적 경계는 왕의 영지 내부 혹은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프라타파 말라 왕은 영토 외부에 닥신칼리 사원을 설립함으로써 자신의 영토와 의례적 권위를 확장하였다. 1768년 카트만두 왕국은 고르카 왕국에게 정복당했다. 영토 정복 이후 고르카 왕국의 샤 왕조는 닥신칼리 여신을 왕실의 수호신으로 받아들였다. 2008년 힌두 왕국이 몰락할 때까지 샤 왕과 왕실에서는 닥신칼리 여신에게 동물희생 제의를 봉헌하면서 왕국의 보호와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 between temple, goddess, and the kingdom by focusing on Dakshinkali Temple at Kathmandu, capital of Nepal. Dakshinkali Temple is located 20㎞ south of Kathmandu. The myth is that in the 17th century a goddess spoke to King Pratapa Malla of Kathmandu Kingdom in a dream, to establish a temple for her. It was said that this would bring him and his kingdom prosperity and no epidemic disease. The new temple was built on the ruins of an old temple. The main deity of this temple is a black, six-armed sculpture of Dakshinkali. In the traditional concepts of Nepal, the relation between a king’s possessions and a deity’s realm was different in boundary and focal point. The boundary of possession was defined by the collection of revenue, and it was to expand or contract according to the king’s influence on the periphery of his kingdom. However the king was not the focal point of his realm, this position was held by the tutelary deity whom he worshiped. The ritual boundary of the realm was fixed in particular localities. But the tax-raising boundary did not necessary enclose a discrete territory. That is, the ritual boundary of the realm could be situated inside or outside of the king’s possessions. In this context, King Pratapa Malla tried to extend his proprietary and ritual authority by the election of Dakshinkali Temple outside of his own territory. In 1768, however, his Kingdom was conquered by the King of Gorkha Kingdom. After conquest, the Shah dynasty of Gorkha Kingdom did accept the Goddess Dakshinkali as one of their tutelary deities. Until the year 2008, the Shah King and his family worshiped with animal sacrifices to this goddess for protecting their Kingdom and proper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형유산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