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랑타령> 考 (A review of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12
27P 미리보기
&lt;어랑타령&gt; 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4권 / 241 ~ 267페이지
    · 저자명 : 이도현

    초록

    본고는 함경도 민요 신민요로 알려진 <어랑타령>을 살펴보고, 그 지역적, 갈래적 정체성에 대해 분석재검토하는 글이다. 알려진 것처럼 <어랑타령>은 20세기 개항 및 철도 건설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였던동해안 지역 근대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음악이다. 이 시기 <어랑타령>의 대중적인 전파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함경도민요 신민요라는 인식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현재 확인 가능한 민요자료를 종합하여 볼 때 함경도에서의 <어랑타령> 분포양상이 강원도에인접한 남쪽으로 한정된 채 상대적으로 소략한 반면,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유의미한 분포 및 연행양상을보여 ‘함경도민요’라는 기존 인식을 의심케 하는 지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여타 신민요의 향토민요로의수용양상과는 달리 그 시간적 축적이 이루어진 흔적을 통해, ‘신민요’라는 기존의 갈래 인식에 대한 재고의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어랑타령>의 노랫말과 음악 분석을 통해 그 지역 갈래적 정체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어랑타령>의 노랫말으로 유독 황해도 선소리 계통인 <난봉가>류, <도라지타령>류 민요의 노랫말을 가져와부르는 특징적인 양상을 발견됨을 보았다. 그리고 <어랑타령>에 보이는 선소리패 계열 음악의 특징인 리듬형의 일시적 변화, 내드름의 출현과 함께 메나리토리 전형과 구별되는 음역 및 선율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진도 고흥에서 전하는 사당패소리 <사랑타령(사랑가)>를 분석 비교하여 <어랑타령>의고형 또는 변형임을 밝혔다. 분석을 종합하면 <어랑타령>은 황해도 사당패소리에서 기원한 선소리 계통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황해도 선소리 <어랑타령>으로의 수정을 통해 앞서 보았던 몇 가지 의문점을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어랑타령>이 활발하게 보고되는 지역은 황해도 사당패의 주요 활동공간과 일치하며, 여러 현지자료에새겨진 향토민요로의 수용에 따른 시간적 축적의 흔적은 근대 이전 사당패소리로의 전파양상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20세기 예인들은 당대의 변화하는 시대상과 도시민의 정취를 반영한 노래를 생성하였으며, 특히 동해안에 인접한 근대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노래로서 <어랑타령>이 채택되었다. 황해도 선소리패는 기존 자신들의 연주곡목이었던 사당패소리 <어랑타령>을 토대로 근대적, 도시적 주제를 노랫말을 붙여 불렀을 것이고, <신고산타령>이라는 제목과 함께 ‘함경도민요’, ‘신민요’라는 인식은 이러한 맥락 위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고찰에 근거하여 <어랑타령>은 황해도 선소리의 범주에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Eorang-taryeong>, known as the Hamgyeong-do folk song and new folk song(新民謠), analyzing and reviewing its spatial and genre identity. As it is well known, <Eorang-taryeong> is music set in modern cities on the east coast, which developed rapidly with the opening of ports and railway construction in the 20th century. As the song was spread more widely among the general public, it appears that people started to perceive <Eorang-taryeong> as having the identity of a Hamgyeong-do folk song and new folk song.
    However, based on the synthesized materials on folk songs currently available,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Eorang-taryeong> in Hamgyeong-do was relatively small and limited to the southern area adjacent to Gangwon-do, while having larger and more significant distribution in Hwanghae-do and Gangwon-do, where <Eorang-taryeong> was enjoyed more actively. This raises doubts about the previously established spatial identity of <Eorang-taryeong> linked with Hamgyeong-do. In addition, <Eorang-taryeong> was found to bear marks of having been accumulated over an expanded period, unlike how other new folk songs that were accepted as part of folk songs. Therefore, it suggests the need to reconsider the classification of <Eorang-taryeong> as a new folk song so far.
    Based on these examinations, this paper seeks to suggest the new spatial and genre identity of <Eorang-taryeong> based on its lyrics and musical analysis available from various source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Eorang-taryeong> has a distinct feature of borrowing lyrics from <Nanbong-ga> class and <Doraji-taryeong> class of songs, both belonging to Hwanghae-do Seon-sori(立唱). Additionally, this paper examines temporary changes in the rhythmic type and the emergence of Nae-deu-reum (a special introductory melody) in <Eorang-taryeong>, which are characteristic of Seon-sori music. Changes in the range and motion of melody are investigated as well,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Eorang-taryeong>, distinguishing itself from existing forms of Menaritori. Finally, this paper establishes that the Sadangpae-sori(wandering artist group's music in traditional society) <Sarang-taryeong(Sarang-ga)> is an old form or a transformation of <Eorang taryeong>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Based on the analysis to be elucidated, it is concluded that <Eorang-taryeong> is a Seon-sori type of music with its musical origin found in Sadangpae-sori in Hwanghae-do.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aforementioned doubtful points through this modification of <Eorang-taryeong> into a Seon-sori type of music. The main distribution area of <Eorang-taryeong> coincides with the major activity areas of the Hwanghae-do Sadangpae.
    It also becomes possible to explain the marks left in this song due to temporal accumulation as it was accepted earlier as part of folk songs, with the way it was spread to Sadangpae-sori in pre-modern times.
    In the 20th century, artists created songs reflecting the changing times and sentiments of city dwellers. In this context, <Eorang-taryeong> was chosen by them as a song set in a modern city adjacent to the east coast. Hwanghae-do Seon-sori-pae sang lyrics with modern and urban themes based on their previous repertoire, Sadangpae-sori <Eorang-taryeong>.
    It is guessed that the recognition of <Eorang-taryeong> as a Hamgyeong-do folk song and a new folk song has formed in this context, with its another name, <Singosan-taryeong>.
    However, based on this paper’s investigation,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understand <Eorang-taryeong> as belonging to Hwanghae-do's Sadangpae-so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