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첩설과 타자화, 그리고 실존주의 -강용준, 「광인일기」론- (Rumor of Espionage, Otherization, and Existentialism - A Study of Kang Yong-jun’s novel Madman’s Diary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10
35P 미리보기
간첩설과 타자화, 그리고 실존주의 -강용준, 「광인일기」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72호 / 331 ~ 365페이지
    · 저자명 : 선민서

    초록

    「광인일기」를 재독함으로써 우리는 반공주의를 양가적으로 대하는 강용준의 정치적 (무)의식을 간취할 수 있다. 간첩조작사건이 횡행하던 시기에 실존철학을 통해 간첩죄를 저지른 자를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반공주의자의 내면을 이 소설은 형상화한다. 「광인일기」의 모티프가 된 1959년의 조봉암 사형과 1967년의 동백림 사건은 남한사회의 대표적인 간첩조작사건이다. 간첩죄인이자 빨갱이라 낙인을 찍힌 조순덕의 행위를 최 대위는 실존주의를 통해 이해하고 분석하려고 한다. 조순덕의 자살을 해석하는 최대위의 모습은 담론장의 왜곡 속에서 간첩설에 휘말리는 사람들의 고통을 가시화해야 한다는 강용준의 무의식적 맥락을 드러낸다. 빨갱이에 대한 실존주의적 해석의 시도는 동백림 사건과 같이 해명되지 않고 있었던 당대의 간첩조작사건이 남긴 잉여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1974년에 「광인일기」를 표제작으로 내세운 작품집 『광인일기』를 출간하던 때에 그에게는 반공주의를 객관화하려는 의지가 있었다. 예컨대 「악령」에서 그는 반공 풍조에 기생해 물질적 이득을 취하려는 인물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했다. 또한 「화령장기행」에서는 7ㆍ4남북공동성명 당시의 화해 분위기 속에서 인민군을 죽인 국방군에 관한 목격담을 소개하거나 국군으로 참전해 사람을 죽인 적이 있다고 고백하는 등장인물을 묘사하며 그는 반공주의와 거리를 두었다. 거제도 포로수용소 시절을 회고한 1975년의 에세이에서도 좌익수용소에서의 폭동이 좌익포로들이 아니라 미군으로 인해 일어났다고 명시할 정도의 균형 감각을 그는 가지고 있었다. 1974년 2월에 발발한 지식인ㆍ문인 간첩단 조작 사건이나 1975년 5월 13일자로 시행된 박정희 정권의 긴급조치 제9호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며 강용준의 자기검열을 부추길 수 있었다. 그러나 1975년 7월까지만 해도 그는 반공이데올로기에 완전히 포섭되지는 않은 상태였다.
    그러나 남한사회의 강박적이고 신경증적인 반공주의 광풍 속에서 강용준의 작품은 점차 반공텍스트로 귀결되었다. 1976년 1월에 발표한 에세이 「춤추는 붉은 악령들」에서 빨갱이라 낙인을 찍힌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공산주의와 관련된 일체의 것을 배격하겠다며 그는 실존철학을 인용했다. 1976년의 제1회 반공문학상 대통령상 수상 이후에 반공주의는 그의 에세이만이 아니라 소설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쳤다. 1984년작 「고독한 영웅」에서 평화주의자를 비난하고 폭력 사용을 주창하는 반공주의 이데올로그들의 언설에 그는 동조하게 되었던 것이다. 반공문학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이전에 반공주의에 대한 양가적 태도를 지녔던 강용준의 내면세계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 「광인일기」가 지니는 문제적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Madman's Diary, we can grab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Kang Yong-jun who treats anti-communism in an ambivalent manner. This novel embodies the inner aspects of an anti-communist who attempts to understand a person who committed espionage through existential philosophy at a time when espionage cases were widespread. The death penalty imposed on Jo Bong-am in 1959 and the Dongbaek-rim incident in 1967, which became subjects of Madman's Diary are representative cases of espionage manipul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Captain Choi seek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behavior of Jo Sun-deok, accused of espionage and of being a red, through existentialism. Choi's interpretation of Jo Sun-deok's suicide reveals Kang Yong-jun's unconscious context that he should visualize the suffering of people involved in espionage in the distortion of the discourse. Attempts to interpret existentialist interpretations of the reds may be a result of the surpluses left behind by unexplained contemporary espionage manipulation cases such as the Dongbaekrim case.
    In 1974, when he published a collection of works that featured Madman's Diary as the title, he was determined to objectify anti-communism. For example, in Evil Spirit, he critically portrayed a person who was parasitizing anti- communism and trying to gain material benefits. In addition, in Journey to Hwaryeongjang, he introduces eyewitness accounts of South Korean soldiers who killed their North Korean counterpartss in an atmosphere of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joint communiqué of July 4, 1972, or describes a character who confesses that he has killed someone b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In an essay he wrote in 1975 reflecting on the days of the Geoje P.O.W camp, he had a sense of balance to state that the riots in the left wing camp were triggered not by left wing prisoners of war, but by the US military. The intellectual/literary spy ring manipulation case in February 1974 and the emergency measure No. 9 of the Park Jeong-hee regime, which took effect on May 13, 1975, restricted freedom of expression and encouraged Kang Yong-jun's self-censorship. Nevertheless, he was not fully embraced by the anti-communist ideology until July 1975.
    However, in the midst of the obsessive and neurotic anti-communist frenz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Kang's work gradually reflected anti-communist expositions. His anti-communist tendencies deepened after receiving the President's Award at the 1st Anti-Communist Literature Awards in 1976. In an essay he wrote in 1978, he quoted an existential philosophy not to understand the person accused of espionage, but rather to reject the communists. In The Lonely Hero written in 1984, he acknowledged the comments of anti-communist ideologues that criticized pacifists and advocated the use of violence. The problematic value of Madman's Diary is that it allows us to imagine the inner world of Kang Yong-jun, who delicately described the innards of anti-communism before establishing his identity as an anti-communist writer.
    In the essay "Dancing Red Demons" published in January 1976, he said that he would reject anything related to communism, not in order to understand people who are branded as reds by citing an existential philosophy. After receiving the award(the 1st Anti-Communist Literature Award in 1976), he was deeply influenced by anti-communism which reflected his novels and his essays. In Lonely Hero in 1984, he agreed with the statements of anti-communist ideologues that criticized pacifists and advocated the use of violence. The problematic value of Madman's Diary is that it allows us to imagine the inner world of Kang Yong-jun, who had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anti-communism before establishing his identity as an anti-communist wri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