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英祖 御製와 ‘風泉’, 그리고 ‘風泉’의 典故化 양상 ('Pungcheon(風泉)' in King Yeongjo's Writings and Its Literary Development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8.12
26P 미리보기
英祖 御製와 ‘風泉’, 그리고 ‘風泉’의 典故化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0호 / 117 ~ 142페이지
    · 저자명 : 조융희

    초록

    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풍천(風泉)'이 조선 고유의 문학적 술어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시경(詩經)』의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을 축약하여 만들어진 '풍천'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이 명을 높이고 청을 배척하고자 하는 정치적 논리를 마련하는 가운데 탄생된 신조어였다. 이 술어에 대한 검토는 조선 특유의 역사적 국면이 문학적 전개 양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제왕의 글쓰기인 영조(英祖) 어제(御製)가 '풍천'의 문학적 전개에 중요한 매개가 되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어제류(御製類)가 일반적인 문학사와 동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긴밀한 관련 속에서 이해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시경(詩經)』의 「육아(蓼莪)」, 「척호(陟岵)」, 「상체(桑棣)」 등의 작품이 영조에게 왕실의 기억을 지탱해주는 끈이었고, 「실솔(蟋蟀)」이 안일함을 경계하게 하는 지침이었다면, 「비풍」, 「하천」은 선왕들, 특히 효종과 숙종을 통해 계승되고 존명배청(尊明排淸)의 대명의리로 집약되는 ‘충’의 정서를 매개해 주는 중요한 작품이었다. 송시열의 「영릉지문(寧陵誌文)」에서 효종의 북벌정책과 관련하여 ‘비풍하천(匪風下泉)’의 함의와 시대적 의의가 강조된 이후 송시열을 추숭하는 노론 세력과 선왕들의 존명배청 의식을 계승한 영조 등에 의해 ‘비풍하천’은 문학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영조대 이후에는 ‘비풍하천’ 자체도 문학적 술어로 사용되는 사례가 증가했지만, 이 술어의 축약형인 ‘풍천’이 새로운 용어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애초에 송시열을 비롯한 노론과 효종의 북벌의지를 담아내었던 ‘풍천’은 영조의 삶과 글쓰기의 궤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학 용어로 기능하게 되었다. 영조는 '풍천'을 통해 자신의 탕평 정책을 강화하는 논리를 마련하려는 모습도 보였으며 이는 정조에 의해서도 일정하게 계승되었다. 영조 이후에 ‘풍천’은 조정의 신하들로부터 초야의 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문인·학자들에 의해 사용되면서 그 함의 또한 외연을 크게 확대할 수 있었다. 멸망한 명나라를 추념하는 것을 넘어서서 ‘풍천’의 정신을 통해 조선이 주체적으로 명나라의 역할을 대신해야 한다는 생각의 실마리를 찾는 이들도 나왔으며, 명나라 유민의 후손들과 같이 잊혀져가는 자신의 뿌리를 ‘풍천’을 통해 되새기고자 하는 이들도 있었다. ‘풍천’은 궁극적으로 영조 한 사람을 특징짓는 용어로서 그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시대정신을 표상하는 언어였으며, 더 나아가 영조 이후의 조선후기 전체를 관류하는 문학적 술어가 되었다. 앞으로 현전하는 방대한 분량의 영조 어제가 조선후기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구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학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에도 다양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pungcheon (風泉)' which was developed into a literary idio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is new term was a combined form of the two titles, "Bipung (匪風)" and "Hacheon (下泉)", in the Book of Odes, from which King Yeongjo (r. 1724~1776) and Joseon scholars found their own political ideas. Song Siyeol (1607~1689) and his follower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began using 'pungcheon' in their writings to show respect for Ming China even after her fall by Qing dynasty. King Yeongjo, however, often used the term for emphasizing kingship and pursuing the policy of impartiality in quest of overcoming factional conflicts. Since King Yeongjo's reign, 'pungcheon' had been favored by many scholars regardless of political faction or status for their own intentions. Some scholars used 'pungcheon' to suggest that Joseon should substitute the role of Ming China in East Asia. In the case of the descendants of the Ming refugees from the Qing's rule, 'pungcheon' reminded them of their origins and the dream to rehabilitate their home country. More diverse approaches to 'pungcheon' and King Yeongjo's writings can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context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