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체의 위버멘쉬와 고귀한 삶 그리고 정치 (The noble life of Friedrich Nietzsche's Übermensch and its political mean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0.11
26P 미리보기
니체의 위버멘쉬와 고귀한 삶 그리고 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16권 / 2호 / 163 ~ 188페이지
    · 저자명 : 최순영

    초록

    니체의 좋은 삶에 대한 견해는 이상적 인간으로서 위버멘쉬의 고귀한 삶과 그 대척점에 있는 천민, 종말인(der letzte Mensch)의 동물적이며 속물적인 삶의 대조에서 그 특징을 잘 알 수 있다. 니체에게 인간은 초월적이고 선험적인 불변의 본성을 가진 존재가 아니다. 니체는 인간을 힘에의 의지의 관점에서 위버멘쉬와 동물사이의 심연에 걸쳐져 있는 밧줄 위를 걷고 있는 양자 사이의 교량으로서, 과정적 존재로 파악한다. 니체는 기존의 목적론적, 기독교적, 선험적 인간관을 비판한다. 따라서 인간은 힘에의 의지의 상승과 퇴락에 따라 위버멘쉬로 상승할 수도 동물로 몰락할 수도 있다.
    그는 『그리스 국가』에서 생존의 필연성으로서 노동의 수치성을 강조하며 희생과 잉여노동에 바탕한 문화의 본질에는 노예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국가와 인간은 단지 수호신(Genius)의 지속적인 생산과 준비의 도구일 뿐이며, 인간은 의식적 무의식적이든 수호신의 도구일 때에만 자신의 존재를 용납하여 존엄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니체는 현대적인 노동의 존엄과 인간의 존엄을 도구가 목적이 되어버린 전도로서 비판한다. 전도의 결과로서 현대인은 어떠한 존엄도, 권리도 갖지 않게 되었으며, 노동의 존엄은 오히려 인간을 노동의 수단으로 노예화 시켰다고 비판한다. 그러므로 니체는 문화의 본질에 필연적인 노예제를 은폐하는 현대적 인간의 존엄성과 노동의 존엄성을 전도된 가치로서 비판한다. 이러한 근거에서 니체는 현대적 정치이념과 문화를 비판한다.
    니체는 힘에의 의지에 근거한 주권적 입법자로서의 개인의 자기에 대한 명령과 자발적 복종으로서의 자기규율을 강조한다. 이에 마땅히 따라야 할 자기복종으로서의 규율과 의무, 책임성이 부재한 부정적이고 반항적인 자유, 즉 사이비 자유에 기초한 자유주의를 니체는 비판한다. 니체가 노예를 자기명령에 복종할 줄 모르는 자라고 정의한 점은 의미심장하다. 그리고 또한 니체는 인간과 문화의 왜소화를 초래하는 정치적 평등에 기초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비판한다. 양자는 인간현실에서 불가피하고, 찬란한 문화적 상승을 위해서 필수적인 귀족적 불평등과 특권에 대한, 약자인 군중들의 부정적이고 반동적(Reationär)인 힘에의 의지인 원한(Ressentiment)에서 비롯된 니힐리즘이라고 니체는 비판한다. 또한 니체는 공리주의를 냉정한 도구적 본성을 갖고, 인간을 유용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여 파편화 된 인간을 양산하는 노예적 가치라고 비판한다.
    니체만큼 노골적으로 현대적 삶과 문화, 정치에 대해서 비판한 사람도 드물 것이다. 니체가 주장하는 위버멘쉬의 고귀한 삶, 위험과 실패를 무릅쓴 모험과 도전에 의한 자기극복과 힘에의 의지의 상승의 추구는 자기보전과 쾌적한 삶에의 안주를 지향하는 현대적 좋은 삶과 대조적이다. 니체의 비판은 정치적 무관심의 팽배, 자율적 규율과 시민적 의무에 기초하지 않은 권리의 남용, 민주주의의 보편화와 이에 따른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주주의의 구체성의 상실과 비판적 기능의 약화에 따른 민주주의의 위기, 아우라(Aura)의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 기술복제 시대를 넘어 멀티미디어 문화상품화 시대에 사는 현대적 삶에 대한 비판적 사유의 계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현대적 삶과 문화, 정치에 대한 니체의 비판에 대해 깊이 숙고할 필요가 있다. 니체가 주장한 좋은 삶으로서 위버멘쉬의 고귀한 삶과 이와 대조된 현대적 좋은 삶과 문화와 정치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보다 많은 토론과 논쟁이 요구되는 주제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Nietzsches philosophical thoughts about good life could be found in Übermensch as the very type of ideal man, which confronts the animal, vulgar life of the humble and the last man. Nietzsche thought that man has not transcendental nature. He understands man as the bridge who walks on the rope between the Übermensch and the animal. Nietzsche criticized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man; transcendental, christian, teleological concept. Therefore man could become Übermensch or could head for a downfall to animal, according to his will to power, which is either increasing or decreasing.
    Nietzsche regarded labor as the shameful inevitability of survival, which based on the sacrifice and surplus value of slavery in his griechischer Staat. State and man are mere instrument of state-guardian deity, which should be reproduced successively, so man couldn't have dignity except that he belongs to the state-guardian deity. Consequently Nietzsche criticized the modern dignity of labor and human be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guardian deity and dignity of labor and human-being is inverted. As the result of this inversion, human dignity, right and the dignity of labor in modern society turned out meaningless. In reality, for example dignity of labor makes man instrument of labor.
    Nietzsche revealed slavery as the basic inevitability of the cultur which modern society concealed. He criticized the modern dignity of man and labor as perverted values. From this point of view he criticized modern political thoughts, life and culture. Nietzsche emphasized self-discipline as self-legislation and voluntary obedience of souvereign individual who based on his will to power. From the viewpoint of souvereign individual, the negative and rebellious freedom, which closely connected with the liberalism, was strongly criticized, because it has no self-disciplne and no self-responsibility. It is very significant that Nietzsche difined the slaves as those who can't obey their own self-legislation.
    Nietzsche criticized also democracy and socialism, founded on equality, that they caused the dwarfing of human being and culture. He criticised them as nihilism, which denies inevitable aristocratic inequality and privilege for brilliant cultural renaissance. Against the powerful, the weak crowd created negative and reactive will to power as revenge. Nietzsche also criticized utilitarianism, because it contains cold instrumental value. It evaluates human being from the viewpoint of utility. It brings up slavish man, who is merely useful as a instrumental component of the society.
    No one has criticized modern life, culture and politics stronger than Nietzsche. The noble life of Nietzsche's Übermensch means self-overcoming and increasing will to power by adventure and challenge, which could be ended with painful failure. It is in opposition to Hobbsian pursuit of self-preservation and comfortable life in peace.
    Nietzsche's critiques provide the serious reflections on the modern life, which is characterized as political apathy, undisciplined right abuse, crisis of democracy, which results from the loss of critical function of democracy,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of democracy after cold war. We live in the hyper-commercialized culture based on multi-media, which succeeds to the technical copy of the culture, that is marked with the loss of Aura.
    Nietzsche's criticism regarding modern life, culture and politics deserves special consideration. The noble life of Nietzsche's Übermensch and its critique of modern world require continuing discu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치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