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전향장기수와 ‘갇힌 몸’의 삶, 그리고 정동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the Life of the “Trapped Body,” and Affec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02
38P 미리보기
비전향장기수와 ‘갇힌 몸’의 삶,  그리고 정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81권 / 1호 / 67 ~ 104페이지
    · 저자명 : 이소영

    초록

    이 글은 김하기의 소설을 통해 정동(affect)의 관점에서 비전향장기수들의 몸과이데올로기가 맺고 있었던 관계를 살펴본다. 이는 무엇보다도 비전향장기수들의 고통받는 육체에 주목하는 것으로, 타인의 고통을 언어화하는 작업에 내재한 윤리적 긴장까지탐구해 보고자 하는 시도다. 김하기의 텍스트에서 비전향장기수들은 유독 눈물을 많이흘리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정동적 과잉은 감옥 권력이 비전향장기수들의 몸의 능력을 최대한 감쇄시키는 방향으로 통제하고 있었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다. 비전향장기수들은 육체적 고통을 겪을 때마다 시간성의 감각을 상실하며 서사적 잔해의 순간에 내던져진다. 그때마다 그들은 이야기하기를 통해 그들의 중단된 삶의 서사를 복구하고자하였다. 또한 비전향장기수들은 그들의 몸과 이데올로기가 전향 제도로 묶여 있는 터무니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보여 준다. 이들이 드러내는 혁명적 낙관주의는 이상하게도 관찰자로 하여금 잔혹함을 느끼도록 만든다. 이는 그들이 이데올로기에 대해 지니고 있는 애착에 내재한 낙관주의가 그들의 안녕(well-being)을 끊임없이 위협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잔혹함에 대한 인식은 한 번도 ‘갇힌 몸’이 되어 보지 못한 ‘관찰자’의 시각에 근거한 것이다. 전향제도는 1998년 준법서약제로 대체되었다가 2003년 폐지되지만, 여전히 석방된 장기수들의 북한으로의 송환 여부를 결정하면서그들의 육체를 구속하고 있다. 종교를 받아들였다는 이유로 전향자로 간주되어 북한으로 송환되지 못한 장기수의 사례는 그들이 지니고 있었던 통일에 대한 낙관주의를 잔혹하게 만드는 주체가 누구인지를 되묻는다. 따라서 비전향장기수들의 ‘갇힌 몸’을 기억하는 것은 최소한의 윤리적 실천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ies and ideologies of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 through the novel of Kim Ha-gi. This focuses on the suffering bodies of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and attempts to explore the ethical tension inherent in the act of articulating others' suffering. In Kim Ha-gi’s texts, the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are particularly described as shedding many tears. This affective plethora is due to the fact that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were controlled in a way that reduced their body's abilities as much as possible. Every time they experienced physical pain, the prisoners lost their sense of time and were thrown into moments of narrative wreckage. Each time, they sought to restore the narrative of their interrupted lives through storytelling. Strangely enough, the revolutionary optimism they show makes the observer feel cruelty. This is because the optimism inherent in their attachment to ideology constantly threatens their well-being. However, this recognition of cruelty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n “observer” who has never been a “trapped body.” The conversion system was replaced by the law-abiding oath system in 1998 and abolished in 2003, but it still detains the bodies of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while deciding whether to repatriate them to North Korea. The case of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who were not repatriated to North Korea for having embraced religion and thus being considered a convert, questions who is the subject that cruelly shapes their optimism about unification. Therefore, remembering the “trapped bodies” of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would be the minimum ethical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