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위터와 평등주의, 그리고 주체화의 문제 (Twitter, Egalitarianism, and Subjectiv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4.02
17P 미리보기
트위터와 평등주의, 그리고 주체화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논총 / 34권 / 21 ~ 37페이지
    · 저자명 : 이택광

    초록

    이 논문은 트위터라는 새로운 매체와 주체화의 문제를 계몽주의라는 근대적 기획의 지평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트위터는 ‘빛’과 ‘어둠’이라는 고전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주체화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트위터는 SNS의 욕망을 극대화한 매체로서 ‘훔쳐보기’와 ‘보여주기’라는 주체화의 원리를 기술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이런 기술적 조건은 ‘평등화’라는 근대의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근대적 주체의 탄생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한다. 이런 까닭에 SNS환경을 배제하고 근대적 주체의 문제를 탐구하기 곤란한 상황이 되었으며, 따라서 트위터와 주체화를 관련짓는 관심이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트위터를 비롯한 SNS환경은 욕망의 과잉을 가속화하면서 곳곳에서 임계점을 설정한다. 온라인에서 이런 효과가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정동의 문제로 나아갈 수 있는 여건이 트위터에 구현되어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my paper is to discuss the problem of subjec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ideology. What I argue is that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cannot be ignored in that it influences the way in which subject is motivated and intensified by desire. It is inclined to the enlightenment ideology interacted with the rationality. As T.W. Adorno points out, it would be called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and the essay attempts to relate the aspect of SNS, in particular, 'twitter', to the idea of egalitarianism, which is the very idea of enlightenment since the modern era. The point I try to make is that the technological condition of 'twitter' gives rise to the material dimension for the idea of equality and precipitates the excess of the subjectivation. The essay examines the reason why the users of SNS is fascinated with the pleasures of the technology and clams that such a pleasure principle is closely connected to the subjectivation in terms of 'affect.' The conclusion remarks that the foundation of SNS is not only technology but also cultural interaction in the networks of 'show-up' desires. This leads to the hysteric subject of capitalism that pushes the desiring machine beyond the limit of bon s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