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시, 그리고 ‘격조시형’이라는 ‘장치’의 탄생 (Free Verse and the Birth of Kyukjosihyung as Dev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4.08
40P 미리보기
자유시, 그리고 ‘격조시형’이라는 ‘장치’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2권 / 2호 / 379 ~ 418페이지
    · 저자명 : 최서윤

    초록

    이 글은 김억의 시론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다시 읽기 위해서 쓰였다.
    1910년대 후반부터 1930년《격조시형론》까지의 그의 시론의 궤적은 자유시로부터 출발하여 민요시를 거쳐 정형시로 귀착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이 과정에서 김억이 일본 시단의 논의들을 부단히 참조하고 모방했음은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궤적에 대한 ‘판단 중지’를 한상태에서 시론을 독해하며 그의 텍스트의 미적 자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1910년대 후반 김억은 태서문예신보 등을 통해서 조선의 시단에 프랑스 상징주의 시를 소개하였다. 그는 「프란스 시단」에서는 프랑스 상징주의시를 근대 자유시로 소개한다. 「시형의 운율과 호흡」은 시의 리듬에 대해구체적 의견을 표명한 최초의 글이다. 이 글에서 김억은 시인 개인의 충동과 민족 공통의 충동이 동일하다고 진술한다. 이는 근대적 개인에 대한 착종된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개성’을 표출하는 근대자유시를 적극적으로 소개한 그가 조선 민족의 공통의 시로서의 ‘조선시’의당위성을 주장하고, 시적 실험을 거친 끝에 조선 공통의 시형인 ‘격조시형’을 정립하는 궤적에서 드러나는 모순이 봉합되는 곳에 주춧돌처럼 놓여있다. 조선문단 에 연재한 「작시법」에서는 그는 조선의 새로운 시가(詩歌)의 출현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언어의 투명성에 대한 인식과그의 사유 내에서 서로 모순된 것들이 모두 배제되지 않고 보편적인 것의하위 개념으로서 혼재하는 양상의 기본 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1920년대 김억은 새로운 조선의 근대시형을 구하기 위하여 ‘민요시’를실험하였다. 이 실험은 전통으로의 회귀를 의미하지는 않는데, 그에게민요시는 새로운 시, 즉 ‘민요시인 동시에 자유시’이기 때문이다. 개성을자유로운 형식으로 표출한 자유시와 민족적 정서를 정형시로 드러낸 민요시는 서로 양립될 수 없는, 모순된 것이다. 이 모순을 김억은 자유시를정형시의 부분집합으로, 시인의 개성을 민족적 정서의 부분집합으로 위계화하며 봉합한다. 김억이 개성의 토대로서의 ‘민족적 정서’를 다루는 법에서 주목할 것은, 당시 논란이 되었던 ‘조선심’을 ‘조선어’의 문제로 치환하며이를 규명하는 일에서 빠져나온다는 점이다.
    그의 언어 인식에서 특징적인 것은 언어와 감정이 1:1 대응관계를 이룬다고 생각했던 점이다. 그에게 언어는 투명한 매개와 같은 것이었다. 김억의 제자이기도 했던 김소월은 시혼에서 ‘음영’을 통해 언어의 불투명성에대한 의견을 개진하며 김억을 비판한다. 또한 임화의 ‘형상’에 관한 논의는그의 시의 형식에의 입장에 대한 비판으로도 읽을 수 있다. 임화에게 형식은 형상과 달리 주체의 구체적인 입장에서 사유된 인식을 반영하지 않은것이다. 임화의 형식에 대한 비판은 특히 ‘격조시형’에 의거한 정형시가시인의 고유한 인식이 반영되지 않은 채 창작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볼 수 있다.
    김억이 1930년에 발표한《격조시형론》은 이 모든 것이 총체적으로자유시, 그리고 ‘격조시형’이라는 ‘장치’의 탄생 381작용하여 산출된 결과물이다. ‘격조시형’은 조선어를 조탁함으로써 조선심을 담아내는 시형들을 산출할 수 있는 조선 공동의 시형이다. ‘격조시형’은음절수를 배열함으로써 시에서 정서를 주조하는 ‘장치’이다. 앞으로 창작될 개인의 자유시는 격조시형에서 산출된 무수한 변이(變異)의 일부에지나지 않을 것이다. 1910년대 후반부터 1930년까지 그의 시에 대한 인식의 총화(總和)인 ‘장치’로서의 격조시형은 김억의 창작이 결국은 ‘개성’을소거하는 것으로 나아감을 표지한다.

    영어초록

    It goes without saying that Kim Eok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of modern Korean poetry. He introduced the notion of free verse of Frenchsymbolists into Korean literary society through the magazine where writers atfront such as Hwang Seokwoo published the articles on contemporary modernforeign literature. As a major pioneer, Kim Eok wrote lots of writings andpoems and he also translated modern French and English poems into Korean.
    However, his literary work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Japanesecontemporary poets’ works such as Kawaji Rukyo’s who was known as theteacher of Joo Yohan, which led to think Kim Eok as a poet who was notone of the great poets during colonial period. This paper will read his writingswith a particular focus on his thoughts on "individual", while trying not tojump into the conclusion. The analysis of his writings aims to shed light onissues such as aesthetic autonomy.
    Kyukjosihyungron published in 1930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histhoughts on so-called Chosun’s new modern poetry because his notion of languagein poetry, rhythm and poetry per se culminated in it. Kim Eok who encouragedChosun’s soon-to-be-writers to write free verse like French poet sought to createnew poetic form derived from traditional song, Minyo. In lots of writings, heinsisted that poets do not distinguish poet’s own feelings from national feelingsfor Chosun, which does not make sense in regard to his earlier enthusiasm for French symbolism. This is because Kim Eok did not struggle with identity issues at all as Chosun’s writer. He was in denial and did not have a strongsense of self. He produced Kyukjosihyung as Chosun’s new modern poetic form.
    With Kyukjosihyung, any poet is not able to express his authentic voice. Thus,Kim Eok shows that finding his or her authentic voice takes huge amountof courage to encounter his or her other self for the colonized wri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후